제조업 생산성 하락에 스마트팩토리로 대응한 일본 사례를 참고해 우리나라도 '한국형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해야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은 21일 발간한 '해외경제 포커스'에서 최근 일본의 스마트팩토리 도입 현황 및 시사점을 분석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이 정부 차원에서 스마트팩토리를 주도한 배경에는 노동 인력 감소가 있었다.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지난 10년간 노동 기여도는 -0.02%에 그쳤다. 일본의 생산가능인구도 같은 기간 10년 전보다 8% 정도 감소했다. 그 결과 일본의 노동생산성은 OECD 평균(55달러)에도 미치지 못했다. 노동생산성은 국내총생산(GDP)를 총노동시간으로 나눈 값이다.
이에 일본은 부품 및 로봇 산업에서의 고도화된 기술력으로 대응했다. 스마트팩토리 구현 기술 관련, 세계시장에서의 일본 점유율은 37.0%에 달했다. 산업용 로봇, 전력선통신(PLC), 머신비전 등이 포함된다. 독일(12.5%), 미국(9.5%) 점유율을 크게 앞질렀다.
정부가 스마트팩토리 활성화를 주도하고 있다.2015년 로봇,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을 정부가 주목해야할 기술로 지정했다. 이어 2017년 6월 '미래투자전략'을 수립했다.
4차 산업혁명 정책 컨트롤타워인 '미래투자회의'를 2016년 9월 설치하기도 했다.
관련 예산도 매년 증액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팩토리와 관련이 높은 AI, 로봇 개발 분야 예산 비중은 4차 산업혁명 예산 중 34.1%에 달했다.
민관협력, 산학협력 체계도 구축했다. 정부와 연구소, 기업간 협력기구 RRI, ITAC 등을 설치했다. RRI에 가입한 업체 중 대기업이 68.7%를 차지했다. 미쓰비시, 토요타 등 대기업과 일본기계학회는 IoT를 통한 제조업 고도화를 목표로 하는 이니셔티브를 설립했다.
실제 활용 사례도 등장했다. 대표적으로 파나소닉은 자체 개발한 모션센서 시스템으로 근로자의 작업시간, 피로도 등을 수집하고 있다. LCD 패널 세척 공정에 협동 로봇을 도입해 작업 소요 시간을 20% 단축시키기도 했다. 미쓰비시전기는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의 공정 조정 등을 AI가 대체하게끔 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도 우수한 정보통신 인프라를 활용, 한국형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해야한다고 제언했다.
원지환 조사국 아태경제팀 과장은 “우리나라는 세계경제기구(WEF) 국가경쟁력 평가 정보통신기술(ICT) 보급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할 정도로 인프라가 탄탄하게 구축된 상태”라며 “한국형 스마트팩토리는 5세대(G) 통신, 클라우드, 가상현실(VR) 등 첨단 ICT가 종합 적용되는 원천기술 개발이 관건”이라고 밝혔다.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