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장관 '데이터주권론' 제기, "AI 기반 미래공장 로드맵 만들겠다"

Photo Image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8일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출입기자단과 취임 3개월 기념 오찬 간담회를 갖고 중기부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데이터주권론'을 제기했다.

데이터는 미래 권력이라면서 글로벌 기업에 데이터 서비스에 의존하지 않는 인공지능(AI) 기반의 미래공장 로드맵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한-일 간 무역 분쟁에 대해선 부품소재 독립선언을 위한 대·중소기업 협력과 중기부 차원의 중소기업 연구개발(R&D) 예산 확대 계획을 내비쳤다.

박 장관은 8일 취임 3개월을 맞아 서울 여의도에서 출입기자단과 오찬을 함께하면서 앞으로 중기부를 이끌어 나갈 두 가지 큰 방향을 제시했다.

이날 박 장관은 데이터주권론과 AI 산업 육성을 내세우며 새로운 100년을 위한 로드맵을 강조했다. 중기부 역할이 중소벤처기업을 위한 미래 신성장 기반 구축이라고 제시했다.

데이터는 미래 권력이라면서 데이터를 축적하고 분석하는 일은 국가의 미래 경쟁력을 결정짓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박 장관은 “중국은 10년간 클라우드 산업에서 구글을 끊고, 자체 AI 슈퍼컴퓨터를 만들었다”면서 “이미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분석과 AI를 접목한 제조혁신에 돌입해 우리보다 앞서간다”고 설명했다. 또 유럽 등에선 이미 데이터주권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관련 대응책을 논의하고 있다면서, 우리나라도 공론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장관은 “우리는 모든 정보를 아마존이나 구글에 저장해서 분석하고 있다”면서 “AI는 데이터를 축적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똑똑해지는데 이는 하루아침에 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중요 데이터를 다른 나라에 계속 의존하면 해당 국가의 AI 컴퓨터만 똑똑하게 만들고 종속될 수 있다면서 사회 검토가 전반적으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 장관은 “무역 분쟁과 비슷한 상황이 올 수 있다”면서 “데이터가 끊기면 그 나라 산업은 어떻게 될지 생각해 봐야 한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는 해당 국가의 데이터 서비스를 배제하자는 주장은 아니라고 부언했다.

Photo Image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8일 출입기자단과 오찬에서 중기부가 문재인 정부의 상징부처로서 신산업의 국가기반을 만들었다는 평가를 듣고싶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AI는 유일한 기회”라면서 “AI에서 주도권을 놓치면 스마트공장, 자율주행, 스마트시티, 바이오 등 연관된 모든 사업에서 주도권을 잃는 것”이라고 해당 산업에 적극 뛰어들 것을 주문했다. 중기부 장관으로서 AI 산업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도 스마트공장 보급과 관련 신산업 창출 때문이라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4차 산업혁명 시대 중소기업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AI 제조혁신 서비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중소벤처기업을 위한 국가 플랫폼 구축이다.

박 장관은 클라우드와 AI 기반 구축을 과거 김대중 정부 시절 초고속인터넷망 보급과 비교했다. 당시 초고속인터넷망을 통해 네이버 등과 같은 새로운 대기업과 벤처기업이 등장하고, 정보통신기술(ICT)강국으로 도약했듯이 클라우드와 AI 기반 구축을 통해 신산업 경쟁력을 키워야한다고 역설했다.

나아가 스마트공장 보급은 AI 데이터센터 구축을 통해 완결된다고 단언했다.

박 장관은 “공장에서 나온 데이터가 저장되고 분석되서 다시 AI생태계를 통해 다시 공장에 흡수돼야 한다”며 “이러한 AI생태계를 구축하지 않으면 스마트공장은 3~4년 내에 무용지물이 되어 다시 과거의 시행착오를 반복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클라우드와 AI 등의 사업 추진을 위해 중기부 조직도 기존 개별 사업 집행 부서에서 점진적으로 개념 설계 부처로 바꿔 나간다. 이런 조직 변화 과정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과의 업무 협조도 필요하다고 박 장관은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일본의 대 한국 수출 규제 등과 관련해 부품소재 독립을 위해선 대·중소기업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며, 부품소재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관련 연구개발(R&D) 예산 확대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산업부에서 주도해 온 R&D 예산 편성 권한을 중소기업에 한해 중기부로 가져올 가능성을 시사한 대목이다.

박 장관은 “부품소재 독립 선언을 할 수 있는 주인공은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중소벤처기업이고, 뿌리산업을 지키고 있는 소공인”이라며 이들을 위한 R&D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