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이 형성되지 않은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등 뉴 콘텐츠는 공공부문이 선제적으로 수요자가 돼야합니다. 또 정부가 투·융자 형식 정책자금을 늘려 중소기업 중견기업화를 유도해야 합니다.”
김영준 한국콘텐츠진흥원장은 콘텐츠 산업에서 공공과 정부 역할을 더 체계화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문재인 정부 초대 콘텐츠진흥원장이다. 취임 후 1년 반 임기를 보내 반환점을 돌았다. 한콘진 원장 임기는 3년이다. 김 원장은 “콘텐츠산업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면서 “제작, 유통과정이 전부 변하기 때문에 정부 역할도 이에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융합 콘텐츠가 가속화 되고 기존 사업지원 방식을 통한 산업 진흥으로는 더 이상 성과를 낼 수 없는 시대가 올 것”이라면서 “기존 장르 중심 사업 구조에서 어떻게 하면 융합 시대에 합류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원장은 VR·AR 등 뉴 콘텐츠 산업 활성화를 위해선 의료, 교육, 국방, 문화, 관광, 복지 등 공공부문이 적극 개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른바 '공공 콘텐츠 뉴딜' 정책이다. 연구개발 차원에서 정책 자금을 집행하기보다 공공이 상용제품 제작에 적극 개입해 일자리와 기술을 늘리자는 것이다.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육성이 필요하지만 아직 시장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분야는 공공에서 수요를 적극 발굴해야 한다는 뜻이다.
김 원장은 “범부처 단위에서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특히 5G가 상용화 되면 네트워크와 실감형 콘텐츠를 묶은 시범단지 형식 사업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콘진은 최근 관광 연구개발(R&D) 업무를 이관 받았다. 뉴 콘텐츠를 활용한 지역 거점 기반 인프라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 원장은 정부가 제공하는 투자, 융자 등 정책금융 규모를 늘려야 한다는 제언도 내놨다. 단순 제작지원보다는 중장기 안목으로 기업을 육성하는 자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 원장은 “자체 조사 결과 콘텐츠 산업에서 연간 9000억원에서 9500억원 사이 투·융자 재원이 더 필요하다”면서 “정부 예산을 포함에 재원 마련에 대한 검토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단발성, 프로젝트성 지원도 필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정부 지원을 받는 중소기업을 어떻게 중견기업 사이즈로 키울지 고민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민간이 손 못 대는 영역에서 정부 역할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그는 “국고 지원 사업은 명확한 전략을 갖고 진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게임장애 질병화에 대해서는 “관련 연구를 계속 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한콘진은 그동안 게임과몰입 코호트(추적조사) 등을 지원해왔다. 김 원장은 “게임을 질병유발 물질로 보는 것에 반대한다”면서 “민·관 협의체가 구성되는 만큼 사회적 논의에 필요한 연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콘텐츠진흥원은 올해 창립 10주년을 맞았다. '콘텐츠 넷 코리아'라는 새 비전을 제시했다.
콘텐츠로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회를 연결하고 나아가 국가를 풍요롭게 만드는 기관으로의 도약 의미를 담았다.
그동안 콘텐츠 산업 기틀을 마련하고 산업이 양적인 성장을 하는데 주력했다면 앞으로는 그간 사업을 수요자 중심으로 재편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김 원장은 세부 방향으로 △전문적이고 창의적인 기업육성과 인재양성 △새로운 콘텐츠 영역을 개척하고, 새로운 시장 창출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새로운 한류 콘텐츠 지원을 꼽았다.
김 원장은 “콘텐츠 넷 코리아를 이루기 위해 가장 근간이 되는 부분은 콘텐츠로 사람과 사람, 사회를 쉽고 빠르고 넓게 연결할 수 있는 기술 확장”이라면서 “시대 변화에 따른 조직을 구성하고 사업 재편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다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시소 게임/인터넷 전문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