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미세먼지 관리 사각지대에 있던 경유철도차량도 새로 제작하거나 수입하는 경우 배출허용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환경부는 경유철도차량 배출허용기준 신설에 관한 내용을 담은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27일 공포·시행한다고 26일 밝혔다. 이 개정안은 지난 2017년 9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 이행과제 중 하나로 추진됐다.
경유철도차량은 전기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벽지 구간에서 여객이나 화물을 운송한다. 올해 1월 기준 국내에 총 348대가 있다.
경유철도차량은 1대당 초미세먼지(PM2.5) 배출량이 경유차의 약 850배에 달하지만, 선박이나 건설기계 등과 달리 배출허용기준이 없어 관리 사각지대에 있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그러나 새로 제작·수입하는 경유철도차는 신설된 배출 허용기준을 지켜야 한다. 유럽 등 선진국 수준의 환경기준이다. 미세먼지 같은 입자상 물질 0.2g/㎾h, 일산화탄소 3.5g/㎾h, 질소산화물 7.4g/㎾h, 탄화수소 0.4g/㎾h 등이다.
김영민 환경부 교통환경과장은 “앞으로 경유철도차량, 선박, 건설기계 등 비도로 수송 분야 미세먼지 배출원을 더욱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함봉균 정책(세종) 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