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1.75%로 동결했다. 지난해 11월 금리를 인상한 데 따른 효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는 데다 당장은 물가 상승 압력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28일 2월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행 1.7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1월 이후 올해 들어 이번이 두 번째 '금리 동결' 결정이다.
금리 인상 유인이 약화된 반면, 경기 둔화와 가계부채 등 동결 유인은 강화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내 예상 금리인상 횟수가 3회에서 2회로 줄이면서 금리 상승에의 요인이 줄어들었다. 한·미 금리 차가 '1%대'를 목전에 앞두자 일각에서 자본유출 우려에 대한 목소리가 나왔지만 미국이 1월 연방시장공개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2.25~2.50%로 동결시키며 한은도 한숨 돌릴 수 있게 됐다.
여기에 경기 둔화 우려, 유가 하락으로 인플레이션 압박도 감소했다.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2.7%로 2012년(2.3%) 이후 6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한 상황에서 금리를 올릴 수 없던 것으로 판단된다. 금리가 높아지면 기업 투자 심리가 위축되기 때문이다.
1534조원으로 사상 최대를 찍은 가계부채도 금리 동결 요인으로 작용했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중금리가 따라 오르면 부채 가구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지난해 금융당국 규제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됐음에도 여전히 소득 증가율을 앞지르며 한국 경제 '뇌관'으로 자리잡고 있다.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