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일부 의원들의 '5·18 망언'과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은 “민주주의를 훼손하고 나라의 근간을 무너뜨리는 일”이라며 “국회 스스로 부끄러워해야할 자기 부정”이라고 비판했다. 문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5·18' 망언에 대한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18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지금 국회와 정치권 일각에서 5·18 민주화운동을 폭동이라거나 북한군이 남파되었다는 등의 주장을 하며 왜곡하고 폄훼하는 것은 우리의 민주화의 역사와 헌법정신을 부정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의 자유민주주의는 다양성을 존중하고 각기 다른 생각에 대한 폭넓은 표현의 자유와 관용을 보장한다”라면서도 “그러나 표현의 자유와 관용이 민주주의를 파괴하거나 침해하는 주장과 행동에까지 허용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김진태, 이종명, 김순례 등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지난 8일 국회에서 열린 '5·18 진상규명 대국민 공청회'에서 5·18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해 각종 왜곡과 비하 내용을 쏟아졌다. '5.18 폭동이 민주화운동으로 변질됐다', '종북좌파들이 5·18 유공자라는 괴물집단을 만들어냈다' 등 허위사실을 퍼트렸다. 현재 이들 3인을 대상으로 한 5·18 망언 의원 징계안이 국회 윤리위에 계류 중이다.
문 대통령은 “너무나 많은 희생을 치뤘고 지금도 아픔이 가시지 않은 민주화운동을 대상으로 오직 색깔론과 지역주의로 편을 가르고 혐오를 불러일으켜 정치적 이익을 얻으려는 행태에 대해 국민들께서 단호하게 거부해 주시기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또 문 대통령은 “곧 3·1 운동 100주년”이라며 “국민이 성취한 국민주권의 위대한 역사를 계승하고 자부심을 가지며 다 함께 새로운 100년을 향해 나아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성현희 청와대/정책 전문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