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으로 '멜라민 분유·짝퉁 달걀' 등 차단나서는 중국... '식품불신' 해소할까

먹거리 안전을 지키기 위한 블록체인 기술 활용 사례가 주목받는다. 식재료 생산부터 제조, 유통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기록해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식품 분야 블록체인 기술 활용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등 해외 각국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먹거리 유통 과정 모니터링과 식품 검증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블록체인은 거래기록을 네트워크 참가자에게 공개해 분산 저장한다. 거래 시 각 참가자 확인을 거쳐 인증한다. 중앙감독기관이 없고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거래 효율성과 투명성을 보장한다.

중국 월마트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제품 제조와 유통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시작했다. IBM·칭화대와 함께 개발한 서비스다.

국산 돼지고기와 미국산 망고 공급 과정을 실시간 추적한다. 축산업자가 돼지고기에 사물인터넷 센서를 부착, 사육 환경이나 방식을 블록체인에 저장한다. 가공업체가 도축·가공정보를 입력해 운송 과정에서도 온도·습도·물리적 충격 등 정보를 저장한다.

중국은 2008년 '멜라민 분유 파동' 이래 가짜 쌀·달걀, 석회 밀가루, 시멘트 호두 등 식품안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중국 온라인 거래 사이트 징둥닷컴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소비자에게 호주산 소고기 이력 정보를 제공한다.

보고서는 “이전에는 식품 이력을 확인하려면 적어도 수 주일이 걸려 정보 정확성을 신뢰하기 어려웠다”며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 이후 식품 이력 확인 시간에 크게 줄어든 데다가 정보 위·변조도 어려워졌다”고 설명했다.

일본 미야자키현 아야쵸에서는 2016년 10월부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유기 농산물 품질 검증을 도입했다. 생산·유통업자가 채소 포장에 QR 코드를 부착, 소비자가 스마트폰으로 생산·유통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재배에 쓴 토양과 재배 시기부터 도·소매 유통 정보까지 모두 확인 가능하다.

미국 볼티모어 식품업체 헝그리 하베스트는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농산물 생산량과 유통 과정의 과잉 생산량 정보를 파악해 농산물 재가공에 활용한다. 네슬레·타이슨푸드·돌·맥코믹 등 대형 식품업체도 IBM과 함께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식품안전 강화 프로젝트에 들어갔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블록체인에 토대를 둔 축산물 이력관리 시스템을 시범 구축, 유통 단계별 이력 정보와 증명서를 저장·공유하고 있다. 유통 과정 추적 시간이 기존 5일에서 10분 이내로 줄었다.

보고서는 “기술 개발과 시장성은 항상 병행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기술이 아직 개발 단계인 만큼 '블록체인 만능론'에 대해서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경계 의견도 담았다.


박정은기자 jepark@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