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블록체인 기반 소액결제를 구현하는 모의 테스트에 나섰다. 실생활 금융업무에서도 블록체인을 활용할 수 있을지를 가늠하기 위한 차원에서다. 올 초에도 한은 금융망에서 모의테스트를 하는 등 블록체인 활용성을 예의주시하는 모양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은행 금융결제국 전자금융팀은 최근 블로코를 '블록체인 기술 기반 소액결제 모의테스트' 용역 업체로 선정했다. 이번 테스트는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 사업 일환으로, 약 1억4700만원이 투입됐다.
블로코는 발행 흐름도 및 거래처리 절차, 참가자 인증 방법, 지갑 관리 방법, 모바일앱(고객) 구현방안, 거래 모니터링 방식 등 구체적인 설계도를 만들게 된다.
한은이 개인 간 자금 거래 관련 블록체인 테스트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은 금융망뿐 아니라 금융결제원 소액결제망까지 테스트 범위를 확대한 것이다. 한은 금융망에서는 금융기관 간 거액이체가 이뤄지며, 금결원 소액결제망에서는 개인의 계좌이체 등이 이뤄진다. 실생활 금융업무에 블록체인을 적용할 수 있을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번 테스트는 1~2개월 간 진행된다. 보안성과 복원력, 확장성, 효율성 네 가지 기준으로 평가한 후 연내 '블록체인 기반 소액결제 모의테스트 결과' 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2월 LG CNS 기술 지원을 받아 R3CEV 금융 플랫폼 '코다'를 활용한 테스트도 진행했다. 당시 한은은 블록체인 기반 은행 간 자금이체가 보안성과 확장성에서는 양호하지만 효율성과 복원력은 한은 금융망에 미치지 못한다고 평가했다. 시스템 장애 시 복구가 가능한지 확인이 되지 않았으며, 9301건 지급지시 처리에 현행(9시간)보다 2시간 33분이 추가로 소요됐기 때문이다.
다만, 블록체인을 실제 금융업무에 적용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1-2년 안에 복원력과 거래 처리 속도가 기존 금융권 수준으로 높아지기는 어렵다는 게 한은의 입장이다. 또, 착오 거래를 취소할 수 없다는 점과 거래 정보가 노출된다는 점 등도 한계로 작용한다.
한은 전자금융팀 관계자는 “이번 모의테스트는 실제 시행을 전제로 한 것은 아니다”라며 “이론으로만 접하던 블록체인 기술 가능성을 재기 위한 차원”이라고 밝혔다.
그럼에도 중앙은행이 블록체인 가능성을 직접 한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은은 지난해'2017 지급결제제도 콘퍼런스'에서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이 중앙은행 역할에 미칠 영향을 논의한 바 있다. 최근 발행한 보고서에서도 '암호화폐가 단기적으로 실물화폐를 대체할 가능성은 없으나 그 잠재력을 무시할 수는 없다'고 진단했다.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