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지속되는 폭염으로 지친 일상을 보내는 요즘 많은 사람으로부터 초미의 관심과 큰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BMW 차량 화재 사고는 많은 점을 시사한다.

최근 국내 시장에서 판매 점유율이 빠른 속도로 신장되고 있는 해외 고급차 회사 차량에서 매우 심각한 결함이 발생, 영향력과 파괴력은 더욱 크다.

차량 화재 사고는 운행 도중, 정차 등을 불문하고 인명과 직결되기 때문에 심각성을 더해 준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화재 발생 시 탑승자들의 현명한 대처로 인명을 잃는 사고는 없었다는 사실이다.

지금까지 공개된 BMW코리아와 독일 본사 고위층의 제품 결함 관련 발표 내용을 보면 이미 수개월 전, 심지어 최초 문제가 발생했을 당시 몇몇 전문가들이 제기한 우려에 대해 이제야 그 심각성을 인지하고 재확인해서 발표한 것으로 보인다.

사고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EGR 장치의 결함과 더불어 혹여 국내에 판매된 자동차에만 적용된 소프트웨어 결함 문제 제기 등 다양한 전문가들 진단이 줄을 잇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마침내 독일 BMW 본사의 공식 사과와 함께 사후 처리 방안이 나온 건 그나마 다행이다.

그러나 이번 같은 심각한 문제에 대한 BMW의 대응을 보면서 이번처럼 심각한 사고의 분석 및 대응 방법 제시에서 BMW와 같은 유명한 회사가 너무나 긴 시간 동안 안일하게 대응한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떨칠 수가 없다.

이미 해외 유명 자동차 업체들이 국내 시장에서 판매량을 적극 늘려 나가면서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BMW는 국내 소비자 지원 방안에 대한 최소한의 투자에도 게을리하고 있다는 비판이 여러 번 제기된 상황이다. 차량의 사후서비스(AS) 과정에서 필요한 부품 수급의 긴 소요 시간 문제와 함께 서비스 제공 인력 부족 문제 등 우리나라 고객은 적지 않은 불편을 겪어야만 했다.

각 회사가 이윤 창출 극대화를 위한 경영 판단에 대한 옳고 그름을 공익이라는 이름으로 쉽게 결정할 수는 없지만 제조사의 인간 생명과 관련된 결함 대응 속도에 대해서는 국가 주도로 요청하고 요구해야 하는 게 맞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관할하는 국가 기관의 일손 부족과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는 기술 한계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소비자들이 제기한 문제가 소중한 인명과 관련될 경우 그 문제의 원인을 국가 기관에서 굳이 판단하려 할 필요 없이 곧바로 제조사에 통보해서 그 대응 방안을 정한 시간 안에 제출할 수 있도록 강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수많은 자동차 결함 관련 사고에 대해 소비자가 그 결함을 증명해야 한다는 시각에서 상황을 정리했지만 더 이상 그러한 접근 방법은 옳지 않다. 특히 그 결함이 인명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경우라면 더욱더 국가 차원의 적극 대응이 필요하다.

이번 BMW 화재 사고에 대한 원인 규명 과정에서 혹시나 운전자의 비정상 운전 버릇으로 인해 화재 사고가 발행했다는 황당한 주장이 나오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러한 주장들을 완성차 업체들로부터 지금까지 꽤 여러 번 들었기 때문이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는 자동차를 운전하면서 무슨 특별한 기술인 양 생각하지 않는다. 지극히 일상에 젖은 생활일 뿐이고 우리의 삶과 늘 함께하고 있다. 글로벌 기업이라면 이제 소비자가 아무 생각 없는 무지한 사람들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이번 사태로 차량의 결함 원인을 찾는 것도 중요하지만 소비자, 즉 고객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Photo Image
최웅철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과 교수.

최웅철 국민대 자동차공학과 교수 danchoi@kookmin.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