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배달 사업에 진출한다. 프랜차이즈 브랜드만 입점할 수 있던 기존 '카카오톡 주문하기' 서비스를 개편해 일반 음식점 배달을 시작한다. 배달의민족, 요기요와 '3파전'이 불가피하다. 배달업계는 카카오 시장 진입을 예의주시하며 실익을 계산하느라 분주하다.
◇카카오 탈환이냐, 배민 수성이냐
카카오는 2016년 외식 주문 중개 기업 씨엔티테크 지분 18%를 사들였다. 회사에 카카오톡 주문하기 서비스 운영을 맡겼다. 씨엔티테크는 최근 배달 대행업체 TNB를 인수했다. TNB 등록 배달 기사 수는 2000명에 이른다. 카카오는 씨엔티테크 인프라를 활용해 주문 중개와 배달 대행까지 선보인다. 신규 음식점 유치에 나섰다. 씨엔티테크와 TNB 지사 130여 곳이 모집 활동을 시작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아닌 소상공인으로부터 입점 문의가 계속 들어와 사업 확대를 결정했다”면서 “중소 자영업자와 상생하며 고객 만족도를 높여 가겠다”고 말했다.
카카오 최대 경쟁력은 4000만명이 넘는 카카오톡 사용자다. 카카오톡 주문하기 가입자도 140만 명에 이른다. 기술력도 강력하다. 카카오는 업계 최초로 픽업 서비스를 도입했다. 카카오톡으로 음식 픽업 시간과 날짜를 설정해 예약한 가게에 들러 찾아갈 수 있게 했다. 결제도 가능하다. 이미 파리바게트에 적용됐다. 업계는 카카오가 배달 시장을 빠르게 접수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금까지는 프랜차이즈 음식만 배달하다 보니 영토 확장이 더뎠다.
업계 1위 배달의민족은 시장 수성에 나섰다. 네이버와 제휴를 맺고 플랫폼과 연동을 강화한다. 업계는 카카오가 카카오톡 주문하기 서비스를 넘어 자체 배달 앱을 내놓을 수 있다고 점친다. 수익 모델도 관심사다. 카카오톡 주문하기 서비스는 프랜차이즈 가맹점 대상 7% 안팎의 수수료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요기요와 비슷한 수준이다. 월 광고료 명목으로 5만5000원을 받는 배달의민족과는 직접 비교가 어렵다. 카카오톡 주문하기 서비스는 지난해 3월 출시됐다. 카카오톡 내에서 프랜차이즈 음식을 주문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치킨, 피자, 버거, 간식, 한식 프랜차이즈 브랜드 36곳이 속해 있다.
◇주문 중개업계 긴장…배달 대행은 미소
카카오 배달 사업 소식에 시장 반응은 극명하게 갈린다. 주문 중개업체는 긴장감을 감추지 못한다. 강력한 경쟁자가 등장했기 때문이다. 대기업에 시장을 뺏기는 것 아니냐는 하소연도 나온다. 주문 중개업체 한 대표는 “이벤트를 열면서 시장에 진입할 경우 기존 업체는 고전을 면치 못할 것”이라면서 “수수료 인하 출혈 경쟁이 벌어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반면에 배달 대행업계는 반기는 분위기다. 업계 전체 월 평균 배달 처리 횟수는 700만 건으로 추정된다. 빅3가 물량 대부분을 책임지는 구조다. 지난해 말 기준 바로고 230만건, 생각대로 200만건, 메쉬코리아 100만건 순서다. 카카오가 만들어 낼 주문 건수가 많을수록 이들 업체 일감이 비례해 늘어난다.
배달의민족, 요기요, 배달통을 통해 3000만건 상당 주문이 발생한다. 카카오가 가세할 경우 4000만건을 넘어선다. 일반적인 주문 건수는 플랫폼 가입자 수의 3배다. 카카오 주문하기 가입자는 140만명이다. 전체 시장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업계가 추산하는 음식배달 시장 규모는 약 15조원이다. 이 가운데 3조원에 해당하는 20%가 배달 앱을 통해 발생한다. 2013년(3647억원)과 비교하면 10배 가까이 늘었다. 수년 내 10조원 넘게 성장할 것으로 관측된다.
최종희기자 choij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