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저금리 시대 종료...금리 '속도조절론' 부상

Photo Image

기준금리가 0.25%포인트(P) 인상되면서 시장의 관심은 앞으로 '금리가 얼마나 더 오를 것인가'로 모아지고 있다. 내년에 1~2회 금리 인상이 추가로 있을 것이라는 기존의 금융권 분석과 함께 한국은행도 신중론을 펴고 있다.

이번 금융통화위원회에서도 기준금리를 기존과 같이 동결해야 한다는 소수 의견이 나오는 등 앞으로 급격한 금리 인상보다는 속도 조절론에 무게가 실릴 것으로 전망된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30일 금통위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은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하기로 한 금통위의 결정에 대해 조동철 위원이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냈다”고 밝혔다.

조동철 위원은 한국개발연구원(KDI) 거시경제연구부 부장(수석 이코노미스트) 출신으로, 그동안 경제 성장을 중시하며 통화 완화를 선호하는 '비둘기파'로 분류돼 왔다.

11월 금리 인상이 본격 '긴축신호탄'일 것으로 보고 있지만 국내 경기 상황을 고려할 때 과거처럼 꾸준히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는 시각이 대부분이다.

한은이 통화 정책 방향과 관련해 완화 기조 유지를 언급한 것과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여부를 '신중히'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말하는 이유다.

여전히 물가가 한은 예상처럼 경기 회복세를 받쳐 주지 못하고 있는 점도 부담이다. 한은은 소비자물가가 전기료 인하에 따른 기저 효과로 당분간 1% 후반 수준을 보이다가 점차 목표 수준에 근접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내수 성장 기여도가 높아지지 않는다면 수요 측면의 근원 물가 상승 속도는 더디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또 다른 변수는 가계부채 증가 속도다. 정부가 내놓은 가계부채 대책 효과를 가늠해야 한다. 만약 정부의 강도 높은 가계부채 대책에 금리 인상이 더해지면 실물 경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총재는 “성장률과 물가 흐름 기조를 면밀히 점검하면서 신중히 판단해 나갈 것”이라면서 “통화 완화 축소 쪽으로 방향을 잡았지만 고려할 요인이 많다”고 신중함을 보였다. 이 총재는 “국내 경기와 물가를 중요하게 보지만 국제 경기 여건과 지정학상의 리스크 등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에 신중히 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정영일기자 jung01@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