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전문직·사무직 여성, 보이스피싱 표적 '소비자경보'

20~30대 전문직·사무직 여성이 보이스피싱 범죄의 표적이 되고 있다.

사회진출이 빨라 목돈을 모았을 가능성이 크고, 금융감독원나 수사기관 등을 사칭하는 사기수법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과 경찰청은 젊은 여성을 표적으로 하는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가 급증함에 따라 소비자경보 등급을 '경고'로 격상하고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1일 밝혔다.

9월 한 달간 수사기관·금감원 사칭 피해자 중 피해금 1000만원 이상인 20~30대 전문직·사무직 여성은 38명에 달했다. 교사, 간호사 등이 주로 대상이 됐다. 이들의 피해금액은 7억7000만원에 이른다.

Photo Image
20~30대 여성의 수사기관?금감원 사칭 보이스피싱 피해금 추이 <자료=금융감독원>

범죄자들은 경찰, 검찰, 금감원 직원들을 사칭해 접근해 해당 계좌가 명의도용이나 범죄에 이용됐으니 국가에서 안전하게 돈을 보관해주겠다며 피해금을 가로챘다.

이때 사기범에게 계좌 이체가 아니라 현금을 직접 전달하는 사례도 있다. 이런 경우 금감원 피해금 환급절차를 통한 피해금 환급을 받을 수 없다.

범행 수법도 교묘하고 대담해져서 고액의 현금을 인출시 은행에서 의심하지 않도록 달러로 환전을 요구하는 사례도 나왔다. 달러 환전시 여행 등의 목적을 염두에 두고 은행직원이 별도의 문진을 하지 않을 것이란 계산을 했다.

수사기관 측은 “(피해 대상이)사회 초년생으로 개인정보를 입수한 사기범이 전화를 걸며 성명, 주민번호, 직업뿐만 아니라 심지어 직장동료 성명까지 이야기하는 경우 사기임을 의심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며 “스스로 전문직·사무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사기범이 수사기관·금감원이라며 권위와 지식정보를 갖춘 것처럼 포장할 경우 이를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Photo Image
개인정보유출이 광범위하고, 보이스피싱 범죄가 날로 교묘하고 대담해지고 있어 금융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게티이미지뱅크

만약 공공기관을 사칭해 전화가 올 경우에는 양해를 구한 후 전화를 끊고 반드시 공식 대표번호 등으로 전화해 사실여부를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또 전화로 정부기관이라면서 자금이체나 현금전달을 요구하면 100% 보이스피싱이란 점을 강조했다.

금감원·경찰청은 전문직 여성 대상 보이스피싱 범죄 관련 피해 예방 교육 등을 집중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김명희 경제금융증권 기자 noprint@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