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공사재개 결정에 신고리 5·6호기 건설 현장이 다시 활기를 띄고 있다.
지난 20일 공론화위원회가 건설 재개 권고안을 제출한 뒤인 주말(21~22일)부터 근로자가 다시 현장으로 출근했다. 삼성물산·두산중공업 등 시공사와 설비 제작사도 건설 재개와 공사 정상화를 위해 분주하다.
공사 참여기업은 지난 3개월 간 일시정지를 위해 배수 및 방청 등 설비 보호조치를 해놓았다. 보호 시설물 철거 이후 공사 재개 작업을 서두들 계획이다.
3개월 동안 수시 안전점검도 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일시정지 기간 동안 7차례 현장 안전점검을 실시했다. 사업자 보호조치의 적절성도 확인했다. 사업자는 현장배수를 위해 양수기 설치, 배수로 정비 작업 등을 했다. 주요 자재를 자재창고에 보관하고, 철근·철골·앵커볼트 등은 시멘트 코팅, 비닐덮개 설치, 방청, 랩핑 등 조치를 취했다. 가장 최근 점검은 17일에 있었다.
정부가 건설 재개를 공식 확인하면서 원안위는 사용 전 검사 대상인 원자로 격납건물, 연료건물, 보조건물의 부식상태를 확인하는 안전성 검사를 한다. 사용 전 검사 대상 외 시설에 대해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한국수력원자력에 공사재개를 통보하면 바로 작업을 시작한다.
문제는 인력수급이다. 신고리 5·6호기 건설 현장에는 800여개 업체, 5만여명 인력이 투입됐다. 공사 일시 중단 후 설비 보호 인력은 유지됐지만 상당수 인력은 다른 업무로 배치를 받거나 다른 건설에 투입되는 등 신고리 현장을 떠났다.
3개월 일시 중단에 따른 보상은 크게 걱정하지 않는 분위기다. 김정훈 자유한국당 의원에 따르면 9월 29일까지 한수원에 접수된 피해보상 청구금액은 960억원이다. 주설비공사 분야 협력사인 삼성물산, 두산중공업, 한화건설이 인건비, 장비비, 자재비 보상으로 415억원을 청구했다. 두산중공업은 원자로 설비 분야 협력사로서도 206억원을 요구했다.
한수원은 신고리 5·6호기 건설에 대해 예비비 2782억원을 보유했다. 협의와 시간 문제일뿐 충분한 보상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사업자의 표정이 밝지만은 않다. 신고리 5·6호기 건설로 안도의 한숨을 내셨을 뿐 정작 향후 원전 건설시장 전망은 암울하기 때문이다. 정부가 원전 해체시장을 키운다고 하지만 프로젝트별 규모는 원전 건설의 10분의 1이이라 기대가 크지 않다.
신고리 5·6호기 건설 참여기업 관계자는 “공사가 재개됐지만 지금 핵심은 보상 문제가 아니다”라며 “5·6호기 공사 이후 원전 건설 시장의 먹거리가 불확실한 것이 가장 큰 부담”이라고 말했다.
조정형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