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센서 산업을 육성을 위한 종합 인프라가 대전시에 구축된다.
첨단센서 기업 창업, 시제품 제작, 전문인력 교육, 실증사업 테스트베드 등에 1000억원대 예산이 투입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대전시는 4차 산업혁명 핵심 기반 기술인 사물인터넷(IoT) 기반 첨단센서를 지역 전략산업으로 육성키로 방침을 세우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 내 나노종합기술원과 연계해 첨단센서 육성 사업을 추진한다. 첨단센서사업추진단장은 한국센서학회장을 맡고 있는 박효덕 나노종합기술원 전문위원이 맡았다.
이 사업은 △첨단센서 창업보육 및 성장 지원 △시제품 제작(Fab) 및 테스트 △전문인력 교육 △실증화단지 조성 운영을 골자로 진행된다. 총사업비는 1014억원 규모로 계획하고 있다.
현재 첫 단계로 77억원을 투입해 나노종합기술원 내에 첨단센서 전용 팹과 테스팅 장비를 구축한다.
2단계로는 2021년까지 장대도시첨단산업단지에 새로 창업보육 공간과 첨단센서지원센터를 포함한 '첨단센서 비즈센터'를 설립한다. 이를 통해 새롭게 창업하는 센서 기업을 유치해 사무 공간을 임대해주고 기술사업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대전테크노파크, 나노종합기술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을 연계해 첨단센서 실증 사업을 위한 테스트베드도 구축한다. 지난 6월 산업통상자원부에 산업기술실증지원사업 제안서를 제출했다. 사업이 통과되면 △교통 △안전 △의료 △스마트홈 △위치정보 등 5개 분야에서 시범서비스를 실시한다.
이번 사업은 실제 상용화를 염두에 두고 진행된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현재 산업통상자원부가 2020년까지 6년간 1508억원 규모로 진행 중인 첨단센서육성사업의 경우 연구개발(R&D)에 방점이 찍혀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센서 산업 중요도는 커지고 있지만 우리나라 생태계를 취약한 것으로 분석된다. 설계 역량을 보유하고 있어도 생산 인프라 부실로 양산 기회가 부족하다는 점이 가장 문제로 지적된다. 포스코경영연구원에 따르면 센서 상용 생산업체(파운드리)의 경우 미국 8개사, EU 8개사, 일본 3개사가 있는 반면에 국내는 전무하다.
김영훈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센서 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생산업체를 주축으로 수요·설계·소프트웨어(SW) 업체가 동반성장하는 산업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면서 “설계업체와 생산업체가 지리적으로 인접해 긴밀히 협업할 때 생산원가가 낮고 시장성이 높은 센서 제작이 가능하며, 생산업체는 설계업체의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테스트베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첨단센서사업추진단은 첨단 센서 산업 육성을 위한 '허브'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우수한 인력과 각종 연구기관, 시제품 생산시설 등 풍부한 대전시의 인프라를 활용해 센서 창업 기업을 지원하는 민간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다는 설명이다.
박효덕 나노종합기술원 전문위원은 “센서는 재료(기초소재)부터 시스템온칩(SoC) 설계, 신호처리 회로 제작, 패키징, 소프트웨어가 융합된 시스템 형태로 발전하고 있는데 국내 중소기업은 생산 설비 투자 여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각개전투를 하다보니 융합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면서 “사업단을 통해 각 기업이 가진 강점을 연결시키고 접목시킬 수 있는 조정자 역할을 맡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현정 배터리/부품 전문기자 i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