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제조업이 식어간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연도별 GDP 성장률과 제조업 기여도

한국 경제성장을 견인해온 제조업이 식어가고 있다.

해외로 이전한 공장을 국내로 복귀시켜야 하지만 정부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스마트공장 도입 등 제조업 혁신 추진 속도는 더디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 경제성장 기여도가 처음으로 2년 연속 0%대를 기록했다. `저성장 고착화` 중심에 제조업 쇠퇴가 자리 잡고 있다는 분석이다.

5일 2000~2016년 통계청과 한국은행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제조업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기여도가 계속 떨어지는 추세다.

2000년 GDP 성장률은 8.9%, 제조업 기여도는 4.1%P를 기록했다. 제조업이 GDP를 4.1% 끌어올렸다는 의미다. 이후에도 제조업은 전체 경제성장률을 높이는데 주요 역할을 했다. 매년 기복이 있지만 대부분 1~3%P 기여도를 기록했다.

제조업 기여도는 2015년 0.3%P로 급락한 후 지난해도 0.5%P를 기록했다. 제조업 성장이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하며 2015년과 2016년 GDP 성장률은 각각 2.6%, 2.7%에 머물렀다. 2000년 이후 제조업 기여도가 2년 연속 0%대(이하 포함)를 기록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있었던 2008년(0.9%P), 2009년(-0.1%P) 이후 처음이다.

분기별로 제조업이 오히려 GDP 성장률을 깎아내리기도 했다. 2014년 3분기와 4분기 제조업 기여도는 각각 -0.2%P, -0.1%P를 기록했다. 지난해에도 3분기 -0.3%P를 보였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제조업 위기는 다른 경제지표에서도 확인된다. 작년 12월 제조업 취업자 수는 358만1000명으로 전년 같은 달보다 400명 줄었다. 제조업 취업자가 줄어든 것은 2009년 10월(8000명 감소) 이후 처음이다. 작년 12월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2.4%로 1998년(67.6%)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공장 3곳 중 1곳은 생산라인 가동을 멈췄다는 의미다.

제조업 쇠퇴는 수출 경쟁력 약화, 공장 해외 이전, 혁신 부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우리 제조업 해외생산 비중은 2009년 13.9%에서 2014년 18.5%까지 올랐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우리나라 제조업 해외생산 비중이 일본 수준에 육박했고, 특히 자동차와 휴대폰 해외생산 비중이 높다”며 “초기에는 부품 수출에 기여할 수 있지만 부품 현지조달 등이 늘며 점차 수출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해외 공장 국내 `유턴`에 노력하고 있지만 세제혜택 등 지원이 약해 실적은 미미하다. 스마트공장 도입 등 제조업 혁신도 속도가 느리고 규모도 제한적이다.

전문가들은 유턴기업 지원 확대, 제조업-서비스업 융합을 바탕으로 한 제조업 부가가치 제고 등을 대안으로 꼽았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트럼프가 리쇼어링 정책을 추진하는 등 자국 기업을 복귀시키기 위한 움직임이 세계에서 확산되고 있다”면서 “우리 정부도 제조업 지원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도별 GDP 성장률과 제조업 기여도(자료:국가통계포털)>

연도별 GDP 성장률과 제조업 기여도(자료:국가통계포털)

유선일 경제정책 기자 ys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