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경제+과학, 분야는 달라도 목표는 中企 진흥

Photo Image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 출범 한 달을 맞았다. 진흥원은 지난해까지 두 개로 나뉜 경기과학기술진흥원과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가 합쳐진 조직이다.

한쪽은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갖추도록 과학기술 정책 진흥을 맡고, 다른 쪽은 중소기업 수출 상담회 운영과 창업 지원 및 컨설팅을 맡은 기관이다. 진흥원은 경기 지역 중소기업의 원스톱 지원 체계 마련에 고삐를 죄고 있다.

스타트업 A사는 지난해 창업했다. 언제 어디서나 PC USB에 꽂아서 자신의 PC처럼 사용할 수 있는 USB 메모리스틱 개발이 목표다. 개발에 6개월 동안 매달렸다. 때로는 중소기업으로서 풀기 어려운 난제도 있었다. 어렵사리 개발을 마쳤다. 상용화에는 투자금 유치가 필요했다. 여러 스타트업 데모 행사를 돌아다니며 자금을 끌어모았다. 유통할 곳이 마땅치 않았다. 수출 상담회를 찾아다니고, 박람회에서 발품을 팔아야 했다. A사 대표는 “다양한 지원 체계가 있지만 기관이 서로 달라 매번 새로운 도전을 해야 했다”면서 “이를 한 기관에서 도맡아 해 줬으면 한다”고 토로했다.

경기도 소재 기업은 이런 고민을 한 기관에서 해결할 수 있게 됐다. 올해 처음 연구개발(R&D)을 지원하는 과학기술진흥원과 중소기업 제품·서비스 유통을 지원하는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가 한 식구가 된 덕택이다.

◇중기 지원 업무 원스톱 처리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 출범하면서 중소기업 지원 업무가 일원화됐다.

도내 과학기술 R&D는 물론 창업부터 수출 마케팅, 기업 집단 지원과 서민경제 지원을 총괄하는 생태계 구축이 하나로 이뤄졌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은 2014년 8월 산하 공공기관 경영합리화 계획에 따라 추진됐다. 여야 연정 합의가 출발점이다. 지난해 8월 도의회 합의로 3개 분야 5개 기관을 우선 통폐합하는 안을 마련했다.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와 경기과학기술진흥원 등 경제 분야 두 기관이 통폐합하면서 올 1월에 탄생했다. 기존 기업 지원시스템에 과학기술, R&D를 통합해 `창업→R&D→사업·성장→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이어지는 비즈니스 전 주기 지원 체계가 완성된 것이다. 31개 시·군 어디에서나 한 시간 안에 접근 가능한 현장 근접 지원 체계가 구축됐다.

중소기업 해외 시장 진출도 수월해질 전망이다.

진흥원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6개국에 8개 경기통상사무소(GBC)를 운영하고 있다. 올해 신흥 시장을 중심으로 이를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통합 시너지 창출 기대

진흥원은 최근 통합에 따른 시너지 만들기에 주력하고 있다. 상반기 업무 혁신과 내부 소통을 강화, 물리·문화 기관 통합을 완성할 계획이다. 하반기에는 통합 목표를 세우고 새로운 길을 제시할 방침이다. 지난해 경기도가 거둔 성과를 이어 가겠다는 전략이다.

경기도는 지난해 전국 일자리 55%를 차지하는 18만8000여개를 만들어 냈다. 수출 실적도 35개월 연속 전국 1위라는 성과를 거뒀다. 과학기술 혁신 역량 40%를 차지한다.

한의녕 초대 원장 각오도 남다르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크고 경제마저 불안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한 원장은 “지난해 악조건 속에서도 경기도는 경제와 과학 성장의 중추 역할을 해 왔다”면서 “두 기관이 통합해 탄생한 기관인 만큼 앞으로 통합 효과를 극대화, 소신과 함께 추진력을 발휘해 업무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기술을 개발한 우수 연구 성과가 사장되지 않고 사업화로 연결될 수 있도록 내부로는 통합 지원 프로그램을 만들고, 대외로는 이들을 적극 공유해 통합 효과를 기업 현장에 확산시키겠다고 강조했다.

◇한쪽 분야 치우치면 미래 불안

과제도 있다. 과학기술 진흥과 중소기업 지원이라는 서로 다른 분야 간 융합이다. 실물 결합에서 한 발 나아가 화학 융합이 필요하다. 한쪽은 중장기로 미래 먹거리를 찾아내는 일이고 다른 하나는 실물 경제 밑거름인 기업은 물론 서민 경제와 맞물려 있다. 단기 목표에 역량을 쏟다 보면 중장기 미래 과제를 놓치는 어리석음을 범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경제인은 “경기도가 기업 지원 체계를 기관 하나로 통합한 것은 좋게 본다”면서도 “다만 중장기성 과학기술 과제 발굴에 뒤지면 경기도는 물론 국가 경제 전체로도 미래를 놓치는 어리석음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Photo Image

이경민 성장기업부(판교)기자 kmle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