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정부서 민간 주도 산·관 참여 게임산업전략위원회 만들자"

Photo Image
2014년 9월 여성가족부와 문화체육관광부가 서울 도렴동 정부서울청사 별관 브리핑룸에서 청소년 대상 인터넷게임 제공시간에 대한 부모선택권을 확대하고, 양 부처와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상설협의체를 구성한다는 내용의 게임 규제 개선안을 발표했다. 여성가족부 이기순(오른쪽) 대변인과 문화체육관광부 유동훈 대변인이 게임규제 개선안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차기정부에서 민간주도 `게임산업전략위원회`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위정현 중앙대 교수는 10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개최된 한국정책학회 주최 게임포럼에서 “게임산업 발전을 위한 `게임산업전략위원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민간이 주도하고 학계, 산업계, 정부가 참여하는 게임전문 싱크탱크를 만들자는 주장이다.

위 교수는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인 게임 주무부처를 산업부나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부처로 옮기자는 제안도 내놨다.

위 교수는 “게임을 기반으로 한 산업융합과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R&D)과 산업육성에 전문성이 높은 부처가 정책을 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산업육성을 위해 규제정책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이승훈 영산대학교 교수는 △규제 최소화 △사전규제의 사후규제화 △공적규제의 민간자율화 △규제의 신속·탄력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최소한 네거티브 규제로 창작자 자율성을 보장해야 하는 시대”라면서 “정부 중심 규제를 민간 자율로 돌린다면 기업 책임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포럼은 게임업계 대표 규제인 셧다운제와 웹보드규제 효과를 분석한 연구결과도 발표했다.

이덕주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에 따르면 2012년 셧다운제 실시 후 연평균(2007~2012년) 13.7% 성장세이던 국내 게임산업은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수출 성장률 역시 2003년~2012년 연평균 35.4%를 기록했지만 2013년 이후 2.9%로 급감했다. 셧다운제로 인한 내수시장 감소 규모는 2014년 기준 1조200억원이다.

이 교수는 “셧다운제가 청소년 게임이용 시간 감소에는 어느 정도 기여했지만 사회 전체적으로 봤을 때 이런 목적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달성했는지 심각하게 문제제기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개선된 웹보드규제(1회·월결제액 상한액 상향)에도 불구하고 관련 산업 타격이 회복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산업 내 재원이 연간 약 3000억원이 줄었다는 것이다.

윤지웅 경희대 행정학과 교수는 “웹보드게임은 정교한 비즈니스모델(BM) 등 노하우가 필요한 산업인데 국내 규제로 상당수 기업이 매출과 사업을 포기했다”면서 “결과적으로 재투자 동력이 사라지면서 게임업계 전체에 영향을 줬다”고 평가했다.

윤 교수는 “웹보드게임 부작용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불분명함에도 규제가 시행됐다는 것은 과잉규제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Photo Image
2011년 11월 셧다운제가 포함된 청소년 보호법 개정을 앞두고 게임 셧다운제에 반대하는 밤샘 게임집회가 12일 밤부터 청계광장 여성가족부 앞에서 열렸다.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김시소 게임 전문기자 siso@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