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성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이 이산화탄소와 수소의 반응에 첨가해 디젤 연료를 만들 수 있는 신촉매를 개발했다.

신촉매는 값싼 구리와 철로 이뤄진 `델라포사이트`다. 델라포사이트를 이산화탄소와 수소 반응에서 촉매로 쓰면 디젤(액화탄화수소)을 얻을 수 있다.
기존에 이산화탄소와 수소의 반응에 사용한 촉매는 메탄이나 메탄올 같은 저분자 물질만을 만들어냈다. 저분자 물질은 부가가치가 낮고 시장도 크지 않다.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효과도 낮은 편이다.

이 교수팀은 델라포사이트를 촉매로 써서 메탄이나 메탄올보다 탄소 연결고리가 긴 디젤을 생산해냈다. 이 기술은 독일 아우디가 개발한 기술보다 간편하다. 아우디의 기술은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바꾸는 단계가 한번 더 필요하다.

이재성 교수는 “태양광으로 물을 분해해 수소를 얻고(인공광합성), 이를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디젤을 얻을 수 있다. 이산화탄소를 단순히 땅속에 묻는 게 아니라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이라면서 “화력발전소와 제철소, 시멘트 공장 등 이산화탄소를 다량 배출되는 현장에 적용할 수 있고, 해외로 수출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촉매 분야 학술지 `어플라이드 카탈리시스 B:환경` 최근호에 게재됐다. 연구 지원은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하는 기후변화대응사업과 중견연구자 사업을 통해 이뤄졌다.
울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