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 자원화 빨라진다...화학연, 자원화 기술 효율 향상 원리 규명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자원으로 바꾸는 전기·화학 전환 기술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원리가 규명됐다. 이를 통한 연료 생성 기술 상용화 시기가 크게 앞당겨질 전망이다.

한국화학연구원(원장 이규호)은 권영국 탄소자원화연구소 박사팀이 미국 국립로런스버클리연구소 알렉시스 벨 교수 및 인공광합성공동연구센터 연구팀과 공동으로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자원으로 전환하는 기술의 효율을 보이는 메커니즘을 규명, 미국화학회지에 게재했다고 25일 밝혔다.

Photo Image
양이온 종류별 환원 전류 및 생성물

이산화탄소 자원화는 전극(촉매)에 전기를 흘려 이산화탄소와 전해질의 화학 반응을 유발하는 기술이다. 메탄, 에틸렌, 에탄올, 일산화탄소 등 공업 기본 원료를 얻을 수 있다.

2015년 파리 기후변화 협약에 따라 전 세계의 이산화탄소 감축 요구가 늘면서 `황금알 낳는 거위`가 될 기술로 평가된다.

정부도 탄소자원화 경제 효과가 2030년 16조3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지난 4월 `탄소자원화 발전전략`을 수립하는 등 집중 투자하고 있다. 하지만 전환 효율이 낮아 상용화가 어려웠다.

연구팀은 전해질에 포함된 알칼리 금속 양이온의 종류에 따라 자원 전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실험 과정에서 입증했다.

Photo Image
이산화 탄소 환원 과정에서 전극에 물이 생성되고, 이 것이 표면의 pH 상승을 억제한다.

실제 비교 실험에서 크기가 큰 세슘(Cs)을 사용할 경우 리튬(Li)을 쓸 때보다 40배 많은 에틸렌과 에탄올이 생산됐다. 일산화탄소 생산량은 4배 많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성과를 토대로 이산화탄소 자원 전환량을 늘릴 수 있는 연구에 착수한다.

권영국 박사는 “양이온이 전기화학 촉매 반응에 미치는 영향의 근본을 이해하는 성과를 거뒀다”면서 “탄소 자원 생성 기술 상용화를 앞당기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