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DNA 손상 막는 단백질 작동 원리 규명

국내 연구팀이 DNA 보관 염색체의 안정을 유지, 암 발병을 막는 단백질 작동 원리를 알아냈다.

최광욱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DNA 염색체 구조, 유전 정보를 안정시키는 변형제어종양단백질(TCTP)의 역할을 규명했다고 13일 밝혔다.

Photo Image
최광욱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염색체 구조가 불안정해지면 다양한 유전자 발현을 제어하는 단백질 브라마(Brahma)가 비정상으로 작동, 암을 유발한다. 직장암, 난소암, 폐암, 흑색종, 방광암, 신장암 등의 발병 원인 가운데 하나다.

연구팀은 TCTP가 브라마와 직접 결합해 과도한 작동을 막는다는 것을 확인했다. 염색체 구조를 조밀하게 조절, 암 발병 가능성을 대폭 줄인다는 것도 알아냈다.

Photo Image
TCTP 단백질 염색체 손상 방직 모식도

또 초파리 TCTP가 감소될 때 염색체 구조 불안정, DNA 파괴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을 동물 실험에서 확인했다.

최광욱 교수는 “TCTP의 새로운 기능이 밝혀져 암 치료 연구에 새로운 실마리가 마련됐다”면서 “환자 고통은 줄이고 효과는 큰 새 치료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번 연구의 성과는 최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온라인판에 실렸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