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사각지대 놓인 장애인, `신(新) 정보격차` 우려

Photo Image
장애인 IT 보조기기 시연 장면

장애인 정보기술(IT)기기 활용지수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기기로 대변하는 모바일 환경에서 활용 수준 격차는 더 크다. IT 격차를 줄이고 장애인의 사회 진출을 돕는 정책 배려가 요구된다.

Photo Image
연도별 소외계층 정보화 격차 추이

19일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보격차 지수 및 실태조사`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우리나라 장애인 정보화 수준은 85.3%다. 일반인을 100으로 놨을 때 장애인 정보화 수준은 85.3점이라는 의미다. 10년 전 57.5%보다 30%포인트 가까이 올랐다. PC와 인터넷 보급률이 꾸준히 상승했기 때문이다.

Photo Image
2014년 소외 계층 스마트 정보격차 지수

문제는 스마트 기기로 대변되는 모바일 환경이다. PC, 모바일 융합 환경에서 다양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정보화 활동 격차는 크다. 장애인 스마트 정보역량은 전체 국민의 60% 수준이다. 전체 국민과 비교해 모바일 기기 보급률이 낮고 활용을 돕는 보조기기가 부족하다. 양질의 디지털 삶을 누리고 다양한 가치 창출에 배제된다. `신 정보격차` 문제로까지 대두된다.

Photo Image
정보통신보조기기 개발 및 보급 사업 예산

장애인 모바일 기기 사용을 돕는 기술은 상당수 개발됐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정보통신보조기기 개발지원 사업을 통해 2004년부터 보조기기 39개를 개발했다. 연간 50억원이 투입된다. 그 중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바일 기기 사용을 지원하는 기술은 12개다. 대부분 시각, 청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폰 활용이 목적이다. 단말기에 탑재돼 장애인 전용 모바일 기기로 보급된다.

Photo Image
모바일 기기 관련 IT 보조기기 개발 현황

기술은 개발됐지만 예산 부족으로 보급 및 확산은 더디다. 연간 장애인 IT 보조기기 수요는 1만대에 달한다. 현 예산으로는 4000개밖에 공급하지 못한다.

정보화진흥원 관계자는 “많은 기술이 개발되지만 확산 적용을 위한 예산이 부족하다”며 “연간 1만명이 넘는 수요가 있지만 현 예산으로는 절반도 못 미치는 4000개 공급만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민간 기업도 고민이 크다. 장애인 대부분이 경제적으로 넉넉하지 않아 직접 보조기기를 구매하기 어렵다.

디오텍 관계자는 “점자정보단말기, 첨단 문자판독 솔루션 등을 개발했지만, 장애인이 직접 구매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며 “고가 장비다보니 정부 지원 사업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시장 형성이 어렵다”고 말했다.

한국장애인IT협회 관계자도 “IT에 소외된 장애인들은 대부분 경제적 어려움도 겪고 있다”며 “모바일 기기를 구매할 여력이 된다 해도 신체적 한계 때문에 이용을 돕는 보조기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용철 의료/SW 전문기자 jungyc@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