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 GPS 전파교란 대체 항법으로 LTE-M 검토

정부가 북한의 해상 위성항법장치(GPS) 전파교란 대응책으로 이내비게이션에 사용하는 `LTE-M` 검토에 착수했다. LTE-M은 해상용 LTE 통신기술로, GPS 위성을 활용하지 않고도 삼각측위 방식으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13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미래창조과학부, 해양수산부 등 정부 부처는 LTE-M을 선박 항법장치로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통신업계에 개발비, 설치 공사비 등 견적을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미래부 담당자는 검토 단계라고 밝혔지만 도입 가능성이 높다.

Photo Image
정부가 북한의 위성항법장치(GPS) 전파교란 대응책으로 해상 이내비게이션에 사용되는 LTE-M 검토에 착수했다. LTE-M은 해상용 LTE 통신기술로 삼각측위 방식으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전망이다.

LTE-M은 해상 100㎞까지 LTE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개발한 기술이다. 해수부가 2020년까지 추진하는 `한국형 이내비게이션` 개발 사업의 핵심 기술이다. LTE-M과 삼각측위를 접목, GPS 대용으로 사용한다는 구상이다. 3GPP가 정의한 LTE 위치정보기술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도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LTE-M을 활용한 위치정보 제공은 오차 범위가 200m 안팎이다. GPS에 비해 크지만 해상에서 200m는 어업 등 업무에 큰 지장이 없다는 게 전문가 설명이다. 평소에는 주로 GPS를 사용하다가 전파교란이 발생하면 LTE-M을 쓰는 방식이 예상된다. LTE-M이 700㎒를 쓰기 때문에 선박에도 700㎒를 수용할 라우터를 장착하면 된다.

Photo Image
정부가 북한의 위성항법장치(GPS) 전파교란 대응책으로 해상 이내비게이션에 사용되는 LTE-M 검토에 착수했다. LTE-M은 해상용 LTE 통신기술로 삼각측위 방식으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전망이다.

정부가 선박 GPS 전파교란 대응책을 찾는 것은 비행기나 자동차에 비해 선박 피해가 크기 때문이다. 비행기는 GPS 전파교란이 발생하더라도 관성항법장치(INS)를 비롯한 여러 대체 항법장치를 사용한다. 국내에는 산악 지형이 많아 자동차, 휴대폰 등 육상에서는 GPS 전파교란이 영향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반면에 소형 선박은 전파교란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바다에서 GPS가 작동하지 않으면 단순히 어업에 지장을 받는 정도가 아니라 배가 월북하는 등 위험성도 커진다”면서 “정부 담당자도 LTE-M으로 해상 GPS를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어 도입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Photo Image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8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전파교란 대응체계 강화를 위한 전파관계관 회의`를 개최했다. 최재유 미래창조과학부 제2차관(가운데)이 회의를 주재 하고 있다.

북한은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5일까지 엿새 동안 해주, 연안, 평강, 금강산, 개성 인근에서 GPS 전파교란 신호를 발생시켰다. 국내에서는 물리적 피해가 없었지만 일부 선박이 어업을 중단하는 등 지장을 받았다.

GPS 전파교란을 근본적으로 막는 것은 현재로서 불가능하다는 게 전문가 의견이다. 이에 따라 미래부는 지난 8일 전파관계관 회의를 열고 GPS 전파교란 대응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안호천 통신방송 전문기자 hca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