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자동차업계의 한국 전기차시장 주도권 쟁탈전이 한층 뜨거워질 전망이다. 중국 등 외산 공세에 한국 완성차업체가 어떻게 맞설지 관심사다. 한국 정부가 보조금을 지원하는 전기차 물량은 올해 8000대지만 내년엔 3만대, 2020년까지 순수전기차만 20만대를 지원한다. 업계는 올해를 시장 주도권 확보 적기로 삼았다.
특히 전기차업계가 가장 주목하는 곳은 우리나라 시장 50% 이상을 차지하는 제주다. 충전인프라를 구축하고 고객 접점 다변화, 긴급 서비스 지원 등 물밑 전쟁이 시작됐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18일 `2016 국제전기차엑스포`에서 `아이오닉 일렉트릭`을 출시하면서 `충전·방전·정비` 문제를 해결하는 `컴포트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컴포트 프로그램은 우선 충·방전 우려를 줄이기 위해 홈 충전기 설치 관련 상담과 유지·보수까지 모든 과정을 지원하는 `홈 충전기 원스톱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대차는 전국 거점에 충전 인프라도 구축한다. 올해 제주 내 18개 블루핸즈 서비스센터 중 11곳에 충전 시설을 설치한다. 향후 전국 800여개 블루핸즈와 직영서비스센터 거점에 충전인프라를 확대할 계획이다.
컴포트 프로그램은 충전소 위치, 배터리 이용 상태 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모바일 서비스도 제공한다. 아이오닉 일렉트릭은 구매 후 3년 내 최대 2회 무료로 방전 시 인근 충전 시설로 이동시켜주는 `긴급 충전 지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밖에도 △10년·20만㎞ 배터리 보증 △전기차 전담 정비 거점 구축 △전기차 전담 정비 인력 육성 등을 지원한다.
곽진 현대차 국내영업본부장(부사장)은 “아이오닉 일렉트릭은 지난 4일 마감된 제주 1차 전기차 민간공모에서 전체 신청 차량 중 약 65% 점유율을 차지해 7개의 공모대상 차종 중 1위를 달성했다”며 “올해 국내 전기차 시장 점유율 60% 이상 달성을 목표로 최대 8000대 판매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국내 전기차 시장 1위를 차지한 르노삼성은 올해 전기차 2000대 판매를 목표로 잡았다. 지난해 르노삼성차 전기차 판매량은 1043대. 누적판매량은 1767대로 전체 전기차 누적판매 32%를 차지했다.
르노삼성차는 우선 올해 전기차 4000대가 보급되는 제주에서 `SM3 Z.E.` 1000대를 판매할 계획이다. 또 SM3 Z.E. 주행 안정감과 뒷좌석의 넓은 공간을 앞세워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전기 택시 보급에 앞장설 계획이다. 서울, 대구, 제주에 지난해 117대를 보급한데 이어 올해는 부산에도 전기 택시를 보급할 계획이다.
박동훈 르노삼성 사장은 “택시가 이동거리가 많은 만큼 배출가스 절감이 가장 필요한 교통수단이며 다수 시민에게 전기차 보조금 혜택을 나눌 수 있어 여러 지자체가 전기택시 보급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르노삼성은 초소형 전기차 `트위지`도 출시한다. 트위지는 초소형 마이크로 전기차로 카셰어링, 배달, 우체국, 경찰차, 관광지 투어차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지난해 5월 서울시, 외식업체 `BBQ`와 함께 시범 운행 계획을 내놓았지만 관련 도로교통법 부재로 도입이 좌절됐다. 연내 국토교통부, 법제처 등 유관부서와 긴밀히 협력해 법적 문제를 해결한다는 방침이다.
닛산은 전기차 유통망 다각화를 추진한다. 이번 3회 제주전기차엑스포를 기점으로 롯데하이마트 신제주점과 서귀포점에서 전기차 `리프(LEAF)`를 판매한다. 고객접점을 늘려 다양한 고객층이 `리프(Leaf)`를 만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제주지역 하이마트 주차장에는 전기차 충전기도 설치했고 롯데하이마트는 수도권과 광역시 매장에도 전용 충전인프라를 늘려갈 예정이다.
한국닛산은 가격을 낮춘 리프 엔트리급 신모델도 출시했다. 리프는 기존 `SL`에서 엔트리급 `S`를 더한 두 가지 트림으로 출시된다. SL 모델은 가격을 300만원 낮췄다. S모델은 시판가격이 4590만원으로 정부 보조금(1200만원)과 제주 지자체 추가 보조금(700만원) 적용하면 2690만원에 구입할 수 있다.
완성차 업체 관계자는 “올해 전기차 시장규모는 8000대지만 내년 3만대, 2020년까지 20만대 보조금 예산이 확보된 만큼, 초기 시장 선점에 열을 올리고 있다”며 “전기차 배터리 등 주행성능뿐 아니라 전용 충전인프라, 신속한 차량 유지보수 대응체계를 갖추는 건 기본이다”고 말했다.
류종은 자동차 전문기자 rje312@etnews.com, 박태준 전기차/배터리 전문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