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7일 오전 9시 30분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에서 장거리 로켓(미사일)을 발사했다.
국방부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성공 여부에 대해 추가 확인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미사일 발사는 북한이 지난달 6일 4차 핵실험에 이어 한 달 만이다. 남북한간 경색이 불가피보인다.
북한은 지난 6일 미사일 발사 예고 기간을 기존 8∼25일에서 7∼14일로 갑자기 변경해 7일 미사일을 쏠 것이라는 관측을 낳았다.
일본 정부는 북한 미사일 발사에 따른 낙하물 3개가 바다에 떨어졌다고 발표했다.
NHK가 전한 일본 정부 발표에 따르면 첫 번째 낙하물은 오전 9시 37분 북한 서쪽 150㎞ 공해에, 두 번째 낙하물은 오전 9시 39분 한반도 남서쪽 약 250㎞ 지점 동중국해 해상에 각각 떨어졌다.
세 번째 낙하물은 오전 9시 45분 일본 남쪽 약 2천㎞ 지점인 태평양에 떨어졌다.
중국 관영언론은 7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긴급뉴스로 신속히 보도했다.
신화통신은 일본 NHK 방송을 인용, 북한이 이날 오전 일본 최남단 오키나와 방향으로 로켓을 발사했다고 보도했다.
홍콩 봉황위성TV도 북한의 로켓발사 소식을 긴급뉴스로 전하며 중국 당국의 대북 설득노력이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봉황망은 최근 우다웨이 중국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가 북한을 방문했으나 북한의 핵실험에 이은 로켓발사로 중국의 대북 설득노력이 무위로 돌아갔다고 보도했다.
[북한 첫 장거리 로켓을 발사한 1998년 이후 현재까지 관련 일지]
▲1998년 8월 31일 = 北,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 발사장서 대포동 1호(백두산 1호) 발사.
▲1998년 9월 4일 = 北 `다단계 운반로켓(백두산 1호)으로 첫 인공위성(광명성 1호) 궤도 진입 성공` 발표
▲2006년 7월 5일 = 北,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 발사장서 대포동 2호 발사.
▲2009년 2월 24일 = 北, 시험통신위성 `광명성 2호`를 `은하 2호`로 쏘아올릴 준비가 진행되고 있다고 발표. 조선우주공간기술위원회, 4월 4∼8일 로켓 발사 예고.
▲2009년 4월 5일 = 北, 무수단리 발사장에서 은하 2호 로켓 발사. 조선중앙통신, `광명성 2호 궤도 진입` 발표.
▲2012년 3월 16일 = 北, 광명성 3호 탑재 `은하 3호` 4월 12∼16일 발사 예고.
▲2012년 4월 8일 =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기지에서 외신기자에게 은하 3호 로켓 공개.
▲2012년 4월 13일 = 北, 은하 3호 발사. 발사 135초만에 백령도 상공서 폭발. 조선중앙통신 `광명성 3호, 궤도진입 성공 못했다` 발표.
▲2012년 12월 1일 = 北, `광명성 3호` 2호기를 은하 3호에 실어 10∼22일 발사한다고 발표.
▲2012년 12월 4일 = IMO `北, 1단계 추진체 및 덮개(페어링) 등 낙하지점 좌표 통보` 발표.
▲2012년 12월 12일 = 北, `광명성 3호` 2호기 발사. 발사 9분 27초만에 위성 궤도 진입 성공.
▲2015년 9월 23일 = 北 우주개발국(NADA), CNN 통해 새 위성관제종합지휘소 공개…`인공위성 발사 임박` 강조.
▲2016년 2월 2일 = 北, IMO에 지구관측위성 `광명성` 2월 8∼25일 발사 통보.
▲2016년 2월 6일 = 北, IMO에 지구관측위성 `광명성` 발사 예정 기간 2월 7∼15로 수정 통보.
▲2016년 2월 7일 = 北, 장거리 미사일 발사.
박희범 기자 hb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