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다보스포럼, 4차 산업혁명 기대와 우려 교차

Photo Image

지난 20일(현지시각)부터 스위스에서 열린 다보스포럼이 23일 나흘간 일정을 마무리하고 폐막했다.

다보스포럼 주제는 ‘4차 산업혁명의 이해(Maste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였다.

다보스포럼에서는 4차 산업혁명 기대와 우려가 교차했다.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이 만드는 산업혁명이다. 인공지능로봇, 사물인터넷(IoT), 모바일, 3D프린터, 무인자동차, 나노·바이오기술을 응용한 새로운 제품이 고난도 문제 해결사로 등장한다. 산업과 사회, 통치시스템은 물론이고 사는 방식까지 혁명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사회는 ‘모든 것이 연결되고 보다 지능적인 사회’다. IoT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사이버와 현실세계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통합 시스템으로, 지능형 CPS(cyber-physical system)를 구축한다. 하드웨어는 스마트폰처럼 데이터를 축적해 해석하며 자동 갱신한다. 로봇과 인공지능(AI)이 결합해 자동화가 일어난다. AI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언어와 이미지를 처리해 복잡한 의사 결정까지 할 수 있다.

구글처럼 디지털 영역에서 성공한 기업이 무인자동차 등 전통산업에 뛰어들고 있는 것처럼 디지털화는 제조업 등 전통 산업에도 침투하고 있다. 기업은 4차 산업혁명 흐름에 뛰어 들었다. 구글, 애플, 페이스북, 삼성전자, LG전자가 앞다퉈 사업 확장에 적극 나섰다.

이에 따라 우리가 살아왔고 일하고 있던 삶의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꿀 기술 혁명 직전에 와 있다. 변화 규모와 범위, 복잡성 등은 이전에 인류가 경험했던 것과는 전혀 다를 것이라는 전문가 예측이다.

4차 산업혁명 수혜자가 되기 위해서는 노동시장이 유연해야 한다고 UBS보고서는 지적했다. 교육시스템, 사회기반시설, 법 체제가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체계를 잡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고숙련 노동력 수요에 빠르게 적응하고, 첨단기술 제조업과 지식기반 사업에 뛰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자동화와 연결성이 비즈니스 현장을 재편하면서 전통 산업은 붕괴에 직면한다.

국가별로도 희비가 엇갈린다. 선진국이 신흥국보다 4차 산업혁명 이득을 더 크게 누린다. 저숙련·저비용 노동에 의존했던 신흥국은 자국 이점을 잃어버리고 역풍을 맞는다. 이 경기에서 선진국은 상대적인 승자가 된다.

4차 산업혁명은 효율과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지만 ‘일자리 쇼크’가 크다. 다보스포럼에서는 로봇·인공지능 발전으로 일자리가 감소하고 부의 불평등 심화가 초래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됐다.

클라우스 슈밥 세계경제포럼(WEF) 회장은 “4차 산업혁명은 자본과 재능, 최고 지식을 가진 이에게 유리하다. 그러나 하위 서비스 종사자는 불리하다. 장기적으로 중산층 붕괴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는 민주주의에 매우 심각한 위협요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WEF는 ‘미래고용 보고서’에서 4차 산업혁명으로 로봇과 인공지능이 보편화하면서 앞으로 5년간 선진국과 신흥시장을 포함한 15개국에서 일자리 710만개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 기간에 새로 생겨나는 직업은 210만개에 불과하다. 특히 반복적인 업무수행이 특징인 사무·행정 직종이 475만개로 가장 많이 줄어든다. 제조·생산(160만), 건설·채굴(49만), 예술·디자인·환경·스포츠·미디어(15만) 업종도 감소한다.

피터 브라벡 네슬레 회장은 “기계에 빼앗긴 일자리를 대체할 다른 일자리가 생기지 못하면 몇몇 국가는 불안정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는 좋은 영향을 주는 게 더 많을 것이란 주장을 내놨다.

게이츠는 “기술혁신으로 상품을 생산하는 소요 시간이 줄어든다면 우리 사회는 그 시간을 이용해 더 많은 일들을 할 수 있는 선택권을 지니게 된다”고 말했다.

기계화로 인해 남아도는 노동력을 이용해 노인을 돌보고, 장애 어린이를 24시간 지원하는 등 훌륭한 일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세바스찬 스런 구글 부사장은 “새로운 기술 출현으로 언제나 새 일자리가 만들어졌다”며 “직업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중국경제 하락 문제도 주요 논제로 떠올랐다. 조지 소로스 회장은 경착륙 현상이 중국에서 반드시 나타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소로스 회장은 세계 투자시장을 위협하는 중국 경기침체와 저유가 등을 놓고 “핵심 문제는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하락)”이라며 “이제까지 겪어보지 못했던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도 중국 당국자 대화 부족이 시장 불확실성과 공포를 키웠다며 중국이 경제 정책 방향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수출과 투자 주도 경제에서 내수 경제로 전환하려는 중국 경제정책이 혼선을 빚으면서 세계 경제 성장 전망에 대한 우려가 생겼다”고 지적했다. 그는 “불확실성은 시장이 싫어하는 것이며, 투자자는 위안화 가치가 어떻게 될 것인지에 경제정책이 분명하지 않으면 투자하기를 꺼린다”며 “경제 전환기에는 정책 당국자가 더욱 대화를 많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