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4차 핵실험]지진연구센터, 핵실험 탐지 어떻게 하나…공중 음파로도 관측

한국지질자연연구원 지진연구센터(센터장 지헌철)는 이번 북한 4차 핵실험 분석 결과 자연지진 형태는 아니라고 판단했다.

자연지진과 인공지진은 지진 파동 형태와 진폭 등으로 구분한다. 지진 파형은 크게 P파와 S파로 구분된다. 어떤 파형이 더 우세한가에 따라 자연지진인지 인공지진인지 파악할 수 있다.

Photo Image
원주 KSRS 지진관측망에서 관측된 북한 1, 2, 3차 핵실험에 의한 지진파형(빨간색) 및 인근에서 발생한 자연지진에 의한 지진파형(파란색)비교

자연지진은 대부분 S파 진폭이 P파 진폭보다 더 크거나 같다. 지진으로 인한 음파는 발생하지 않는다. 축적된 에너지가 단층운동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큰 진폭의 S파가 관측된다.

반면 인공지진은 P파의 진폭이 S파에 비해 매우 크게 나타난다. 또 폭발로 인한 음파가 발생한다. 지진파의 초동을 보면 대부분 압축으로 나타나고 에너지 방출시간이 짧다.

진원 깊이를 보면, 자연지진은 진원 깊이가 10∼15㎞로 깊은 편이다. 인공지진은 진원의 깊이가 수십~수백m로 깊이가 얕다.

소리를 통해서도 인공지진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제 북한 2, 3차 핵실험 후, 강원도 간성 등에 위치한 국내 공중음파 관측소에서 핵실험에 의한 공중음파 신호가 탐지됐다. 지하 수백 미터 깊이의 핵폭발로 발생한 강력한 충격파가 지표에 도달해 대기압을 변동시키고, 이 압력변화가 대기를 따라 전파해 국내 관측소에 기록된다.

지하 수 ㎞이상 깊이에서 발생하는 중소규모 자연지진은 지구내부로 지진파만을 발생시킬 뿐 대기 중으로 음파 에너지를 방출하기는 어려운 반면, 지표근처의 대규모 광산발파나 핵실험의 경우 대기 중으로 음파 에너지를 방출해 먼 거리에서도 공중음파를 관측할 수 있다.

핵폭발로 발생한 에너지는 극히 일부가(약 1% 이하) 탄성에너지로 변해 지진파 형태로 빠르게 퍼져 나간다. 지진파는 지구내부 물성에 좌우되지만 보통 3~7㎞/s의 속도를 나타낸다.

지난 2013년 3차 북한 핵실험을 보면 발생한 지진파 초동은 핵실험 발생순간으로부터 약 44초 후에 전방지역 지진관측소에 도달했다. 순차적으로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도 관측됐다.

한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6일 북한의 수소탄 실험 주장에 따라 전국 134개 국가환경방사선자동감시망을 이용해 핵실험 중 발생할 수 있는 방사성 물질에 대한 분석에 착수했다.

KINS 환경방사선 자동감시망은 공기 중 방사성 물질을 감지하는 시설로 이를 통해 핵실험 여부를 확인하려면 핵실험에서 발생한 제논 등 방사성 물질이 바람을 타고 확산해야 하기 때문에 통상 3∼4일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원자력안전기술원 측은 환경방사선 분석방법으로는 북한에서 한 실험이 원자폭탄 실험인지 수소폭탄 실험인지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