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사물인터넷용 주파수를 배정했지만 실용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력이 낮아 도달거리가 짧은 게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됐다. 정부는 전파 간섭 실험 결과에 따라 출력향상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22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사물인터넷(IoT) 주력망인 917~923.5㎒ 주파수대역 출력이 10밀리와트(㎽)로 제한됐다. 전파법 소출력기기 관리규정에 따른 조치다. 전파 간섭을 막자는 취지다.
출력이 낮으니 도달거리가 짧다. IoT용 네트워크 기준인 ‘저전력장거리통신(LPWA)’과 맞지 않다. LPWA는 근거리무선통신처럼 저전력에 가격이 싸면서도 이동 통신망처럼 먼 거리를 도달해야 한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12/756885_20151222184207_175_0001.jpg)
한 이동통신사 기술전문가는 “10㎽로는 잘해야 수백미터밖에 도달하지 못 한다”며 “유럽은 우리보다 출력을 배 이상 높여 도달거리도 수㎞로 늘었다”고 말했다.
도달 거리가 짧으면 경제성이 떨어진다. 예를 들어 원격검침을 할 때 더 많은 중계기를 설치해야 한다. 출력이 절반일 때 중계기는 다섯 배가량 더 필요하다고 업계는 추산했다. 애완동물 위치추적기처럼 원거리 통신이 필요한 참신한 IoT서비스 등장이 어렵다.
3세대(3G)나 롱텀에벌루션(LTE) 주파수 사용도 거론된다. 문제는 가격이다. 통신모뎀 가격이 3~5배 비싸다. 대량 생산하면 가격이 떨어진다고 하지만 그 시점을 예측하기 어렵다.
이학무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이동통신망을 활용하면 통신모뎀 가격만 4만원이 넘고 요금제도 월 5000원 이상 지불해야 할 것”이라며 “유선인터넷 ADSL, 무선인터넷 LTE 도입으로 성장했듯 IoT도 전용 통신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전파법 소출력기기 규정이 현 기술수준과 맞지 않다고 주장한다. 전파간섭을 피하는 기술이 개발된 만큼 출력을 높여도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이윤덕 성균관대 교수는 “소출력 규정은 전파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옛날에 만든 것”이라며 “이제는 문제가 없기 때문에 출력을 높여도 큰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IoT용 주파수 출력을 높이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미래부 관계자는 “일부 국가가 우리보다 출력이 높은 건 사실이지만 무턱대고 높이면 간섭이 심해진다”며 “현재 진행 중인 전파간섭 실험 결과를 보고 문제가 없으면 출력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김용주기자 ky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