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국방부·국정원, `국가 사이버보안 R&D 조정 협의회` 발족

정부가 개발한 국가 사이버 보안 주요 연구 성과를 민간에 이전·공유한다.

미래부와 국방부, 국가정보원은 사이버 보안 R&D 공동 추진과 기술·인력 교류, 성과 확산 등 협력을 목적으로 ‘국가 사이버보안 연구개발(R&D) 조정 협의체’를 구성했다. 21일 정부과천청사에서 발족식을 열었다. 정부는 새해 국가 사이버보안 R&D에 1200억원을 투자한다.

부처 간 공공 기술개발과 인력 교류, 연구장비 공동 활용 등 R&D 협업에 힘쓴다. 기존에 단품·파편화한 기술 개발 위주 R&D 체계를 바꾼다.

Photo Image

국가 R&D성과를 민간에 확산하고 부처 간 성과를 공유하는 ‘사이버보안 기술 예고제’도 시행한다. 개발 중이거나 예정인 기술을 민간에 사전 공개해 상용화를 지원한다. 각 부처가 사이버보안 R&D 과제를 공동 발굴하고, 기획단계에서부터 유사·중복성을 검토한다.

Photo Image
미래창조과학부, 국방부, 국가정보원이 21일 오전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정부과천청사 미래부 대회의실에서 `국가 사이버보안 연구개발(R&D) 조정 협의회 발족식` 을 개최했다. 최재유 미래창조과학부 제2차관(왼쪽 두번째)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발족식에는 관계부처와 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국방과학연구소(ADD), 국가보안기술연구소(NSR) 등 연구기관이 참석했다. 민간·공공·국방부문 사이버보안 R&D 추진 현황을 보고했다. △부처 간 사이버보안 R&D 공동 추진 방안 △사물인터넷(IoT) 암호·해킹대응 핵심기술 개발 △국방 사이버보안 R&D 추진 효율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최재유 미래부 차관은 “사이버위협 대응이 국가 차원 과제로 대두했다”며 “사이버보안 기술 강국으로 도약하고 부처 간 모범 사례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김인순기자 inso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