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독자 운용체계(OS) 타이젠3.0을 장착한 두 번째 타이젠폰 ‘Z3’를 인도 시장에 투입한다. 인도, 중국 제조사 중저가폰 공세에 Z3로 응전한다. 삼성전자는 인도시장에서 판매 1위다.
22일(현지시각) 샘모바일은 삼성전자가 인도와 방글라데시, 네팔 3개국에서 Z3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삼성전자는 이달 말 인도 벵갈루루에서 열리는 타이젠 개발자 회의에서 Z3를 공개, 참석자에게 지급한다. 다음 달 정식 출시될 가능성이 높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07/708132_20150723175429_576_0001.jpg)
삼성전자는 지난 1월 인도에서 최초의 타이젠폰 ‘Z1’을 출시했다. 인도와 스리랑카, 방글라데시 3개국에서 5개월여 만에 100만대 이상을 판매했다. Z1은 5700루피(약 9만9000원)에 판매되는 보급형이다. Z3는 Z1의 단점으로 지적되던 저스펙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외신에 따르면 Z3는 5인치 슈퍼아몰레드 디스플레이, 오토포커스(AF) 기능을 갖춘 800만 화소 후면 카메라, 500만화소 전면 카메라를 탑재했다. OS는 사물인터넷(IoT)에 초점을 맞춘 차세대 타이젠3.0을 쓴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07/708132_20150723175429_576_0002.jpg)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1.3㎓ 쿼드코어 스프레드트럼 SC7730S, 1.5GB 램, 8GB 저장용량을 갖췄다. 마이크로SD카드 슬롯이 있으며 배터리 용량은 2600㎃h다. 두 개의 통신사를 사용할 수 있도록 Z1과 같은 듀얼심 구조를 채택할 것으로 보인다.
4인치 디스플레이를 쓰는 Z1보다 화면이 1인치 더 커졌다. AP 클록스피드도 향상됐고 배터리 용량은 1100㎃h나 확대됐다. 후면 카메라 성능 역시 310만 화소였던 Z1보다 500만 화소 가까이 향상됐다. 램과 저장용량도 각각 두 배가량 늘어났다.
OS가 타이젠2.3에서 타이젠3.0으로 업그레이드된 점도 눈에 띈다. 타이젠2.3은 빠른 부팅과 실행 속도, 강화된 인터넷 성능을 강점으로 내세운다. 타이젠3.0의 구체적 기능은 알려진 바 없다. 업계는 IoT나 클라우드, 근거리통신 등 주변 환경 활용, 연결성을 한층 강화한 것으로 보고 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07/708132_20150723175429_576_0003.jpg)
성능이 업그레이드되면서 가격은 10만~20만원이 될 전망이다. 보급형 시장에서 샤오미, 레노버 등과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인도 현지 업체인 마이크로맥스, 인텍스, 라바 등과 정면승부도 예상된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1분기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27.8%로 1위를 고수했다. 하지만 지난해 1분기 33.3%보다 5.5%포인트(P) 줄어들었다. 인텍스와 라바의 성장세 때문이다.
타이젠Z3는 인도와 남아시아 시장에서 삼성전자 스마트폰 점유율을 지키면서 동시에 타이젠 생태계를 확대하는 중책을 맡았다. 삼성전자는 스마트TV를 비롯해 냉장고, 에어컨 등 가전과 일부 웨어러블 기기로 타이젠 사용을 늘리고 있다. Z3가 삼성전자가 모바일 분야 독자 OS 생태계 기반을 다지는 첨병이 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Z1, Z3 비교
자료:삼성전자, 외신종합
![삼성, 인도시장 사수 전략 타이젠폰 ‘Z3’ 전격 투입](https://img.etnews.com/photonews/1507/708132_20150723175429_576_T0001_550.png)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