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공사, 오폐수 처리량 늘리고 매립가스 자동차연료로 재활용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SL공사)가 자체 개발한 기술로 청정매립지 만들기에 나섰다. 오·폐수 처리 혁신기술로 침출수 처리장 추가 건설수요를 줄이고, 매립가스 자원화 기술로 연간 74억원 규모 원유 대체효과를 거둘 전망이다.

Photo Image
수도권매립지 전경.

SL공사(사장 이재현)는 자원순환기술연구소를 주축으로 폐기물 관련 자체 연구를 통해 확보한 신기술을 적용해 청정매립지를 구현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SL공사는 기존 침출수 처리공정인 탈질·질산화 공정을 개선·보완해 침출수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신기술을 확보했다.

매립지에서 발생되는 침출수와 폐자원에너지타운 폐수, 음식물탈리액 등 고농도 질소를 함유한 오·폐수를 병합 처리하는 기술이다. 총질소 성분 처리효율을 약 13% 향상시켰고 처리량도 41%가량 높였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현재 6700톤 안팎인 침출수 처리량이 오는 2019년 약 8500톤으로 늘어나더라도 설비 증설없이 충분히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 기술을 올해 안에 특허등록하면 새로운 오·폐수 처리장을 건설하지 않아도 돼 300억원 이상 예산 절감효과가 기대된다.

매립가스 분야에선 메탄성분을 최첨단 분리·정제해 자동차 연료나 도시가스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메탄성분이 약 50% 섞여 있는 매립가스에서 메탄 양(순도)을 95%로 증가시키고 회수율 88%를 달성할 수 있는 분리·정제 기술이다. 우리나라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 자원화 설비에 적용하면 2020년까지 연간 약 74억원 원유 대체효과를 올릴 수 있다.

폐기물 에너지화 분야에선 반입폐기물 중 건설폐기물 폐목재와 가연물을 선별·분리, 고형연료로 재활용할 수 있는 실증기술을 확보했다. 이 기술로 매립지 반입폐기물 중 약 50%를 차지하는 건설폐기물(중간처리잔재물 포함)에 다량 포함돼 있는 가연물을 약 92%, 폐목재를 약 82%까지 선별·분리할 수 있다. 매립되던 건설폐기물을 고형연료로 재이용하면 고형연료와 우드칩을 생산해 약 650억원 원유대체 효과가 기대된다.

SL공사는 지금까지 총 205건 연구를 통해 국내특허 45건, 국외특허 12건, 신기술 11건 등 총 68건의 지식재산권을 확보했다.

이재현 SL공사 사장은 “세계에서 가장 큰 수도권매립지 안정화·과학화는 끊임없는 연구와 기술력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앞으로 세계 최고 수준 자원화와 환경명소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