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5/05/22/article_22171007185832.jpg)
한국감정평가학회(조덕근 회장, 남서울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지난 5월 20일(수) 서울 건국대학교 해봉부동산학관(103호)에서 2015 상반기 학술세미나를 ‘감정평가 공정성 제고 방안’을 주제로 진행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5/05/22/article_22171027280639.jpg)
한국감정평가학회 조덕근 회장은 인삿말을 통해 감정평가 공정성이라는 주제로 자리에 함께한 내외빈 참석자에게 감사의 말을 전하며, 세미나를 통해 감정평가업계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학회와 관련업계가 공동의 노력을 다할 것임을 이야기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5/05/22/article_22174935958542.jpg)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5/05/22/article_22175710170196.jpg)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5/05/22/article_22175324552719.jpg)
또한 권대철 토지정책관(국토교통부)과 한국감정평가협회 서동기 회장, 고성수 원장(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의 순서로 이번 학술 세미나 개최에 대한 축사가 있었으며, 감정평가영역의 공정성에 대한 충분한 고민과 좋은 의견이 나올 수 있는 자리가 되었으면 한다는 내용이 주를 이뤘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5/05/22/article_22171227353811.jpg)
세미나는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유선종 교수의 진행으로 시작됐으며, 제1주제와 제2주제로 구분되어 발제와 토론으로 이루어졌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5/05/22/article_22171304590213.jpg)
제 1주제는 국기호 감정평가사(태평양감정평가법인)의 발제로 `감정평가 의뢰방식 개선을 통한 감정평가의 공정성 제고방안`이 발표됐으며, 정희남 박사(국토연구원)의 사회로 진행됐다. 토론에는 최호근 선임부회장(한국감정평가협회), 권대철 토지정책관(국토교통부), 임재만 교수(세종대학교 부동산학과), 하덕일 부장(국민은행 가치평가부)이 함께했으며, 발제에 대한 다양한 질문과 의견이 제시됐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5/05/22/article_22171909578758.jpg)
국기호 감정평가사는 감정평가의 본질 및 고객분석을 시작으로, 감정평가 의뢰방식 현황과 문제점을 설명하면서 부실한 감정평가는 국민재산권에 피해를 입힌다는 점을 강조했다. 감정평가 공공성과 신뢰성이 최대로 확보된다면 국민재산권 보호 및 국가예산 낭비 예방, 공정한 과세기준으로 탈세방지 등 다양한 기대효과를 전망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5/05/22/article_22172032367567.jpg)
발제에 관한 토론에는 대형법인과 소형법인간 감정평가의 우수성을 비교할 수 있는 근거 여부에 대한 의견(임재만 교수)도 있었으며, 국민은행의 예를 들어 감정평가에 대한 공정성에 대한 정의를 생각해보고, 비즈니스 영업과 의뢰방식 절차형식에 대해 고민하는 의견(하덕일 부장)도 제시됐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5/05/22/article_22172134881174.jpg)
특히 최호근 선임부회장은 한국감정평가협회의 업태간 상생합의에 대한 진행과정을 설명하고, 국민의 재산권을 지키는 공시지가는 안전비용으로 효율성과 비교할 수 없는 중요 과제라는 의견을 냈다. 또한 원칙과 기본이 충실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과정으로 감정평가의 공공성과 독립성 보장의 본질을 찾아가야 한다는 방향을 제시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5/05/22/article_22172309582782.jpg)
토론에 참여한 권대철 토지정책관은 공정한 감정평가를 통해 국민의 재산권을 보장하는데 계속 정진을 했으면 한다는 의견을 내어, 감정평가 공정성 방안에 대한 세미나 취지가 국가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임이 강조됐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5/05/22/article_22173045218242.jpg)
제 2주제는 박종원 과장(국토교통부 부동산평가과)의 `감정평가 공정성 강화 방안`으로 발제가 이뤄졌으며, 조주현 교수(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의 사회로 진행됐다. 토론은 김순구 감정평가사(대형법인대표자협의회 의장), 김학규 상무(한국감정원), 정수연 교수(제주대학교 경제학과), 송시헌 변호사(법무법인 영진, 국토교통부 고문변호사)가 패널로 참여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5/05/22/article_22173335836070.jpg)
발제를 맡은 박종원 과장은 감정평가의 대상인 부동산이 사회성과 공공성을 가지는 사적재화인 동시에 공공재임을 이야기하며, 감정평가사가 추구하는 감정평가업무가 공익과 사익의 균형점을 중심으로 하는 것임을 전제로 발표했다. 특히 현재 부실/과다평가 등 감정평가 공정성에 대한 근본적 문제 지속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을 토대로, 감정평가의 품질제고와 전문성 및 투명성 강화에 대한 추진방향을 이야기했다.
토론에서는 매년 반복되는 공정성 및 품질제고에 대한 실질적인 개선이 더욱 필요하다는 의견(정수연 교수)이 있었으며, 감정평가사의 규제와 관리감독의 강화보다는 공정한 시장질서를 업계 자율적으로 유지하려는 노력에 방점을 뒀으면 하는 의견(김순구 감정평가사)이 있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5/05/22/article_22173832903487.jpg)
특히 김순구 감정평가사는 지금 감정평가 업태의 구조를 대형화로 강화하는 방향을 제시하며, 현재 150-200명 정도의 법인의 구조를 가지고는 감정평가 업무가 새로운 구조를 만들어가기는 어렵다는 의견을 냈다. 특히 대형법인 종사자의 60%는 기존 업무, 나머지 40%는 새로운 업무를 연구/개발할 수 있는 안정적 구조확립 방안을 제시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5/05/22/article_22174145438054.jpg)
토론후 질답시간에는 공정성 제고방안을 위해서 부실/과다평가 등 실제적인 피해사례 조사가 필요하지 않냐는 참석자(감정평가사)의 질의에 전수조사의 필요성에 대한 방안을 제시할 것을 조덕근 한국감정평가학회장이 직접 답하는 등 세미나 이후 공정성 제고방안의 중요한 전환을 알 수 있는 의미있는 행사가 됐다.
2015년 상반기에 진행된 이번 세미나 행사는 한국감정평가학회가 주최하고 한국감정평가협회에서 후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