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속에 이식한 철심이나 전자회로를 수술로 제거하지 않아도 체내에서 녹아 흡수되거나 환경오염 물질을 감지하는 친환경 센서를 만들 수 있는 비정질 산화물 기반 트랜지스터 연구가 제시됐다.
진성훈 인천대 교수, 이종호 서울대 교수, 존 로저스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 교수 공동 연구팀은 대면적 디스플레이 양산 소재인 비정질 인듐갈륨아연 산화물(a-IGZO)을 바이오 호환성이 있는 폴리비닐알코올(PVA) 기판에 구현하고 시험을 마쳐 응용 가능성을 검증했다고 밝혔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505/682969_20150511143403_714_0001.jpg)
이번 연구는 미국 물리학협회(Institute of Physics) 출판 그룹 커뮤니티 웹사이트인 나노테크웹(nanotechweb.org)에서 ‘바이오 호환성 있는 트랜션트 트랜지스터(Transient transistors are biocompatible)’로 소개했다.
물에 완전히 녹는 a-IGZO 기반 트랜지스터는 인체 내에서 녹아 없어질 수 있어 다양한 의학용 임플란트 재료나 환경감지 센서 등에 응용할 수 있다. 보안 목적 하드웨어나 군사용 기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분야다.
최근 세계 의학·재료 학계에서는 인체 내에 잠시 존재했다가 기능을 다한 후 녹아 흡수되거나 분해되는 차세대 ‘트랜션트 전자기기(transient electronics)’에 대한 관심이 높다. 별도 수술이 필요 없고 인체에 무해해 새로운 의료기기뿐만 아니라 군사용 기기, 보안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군사용 드론(무인정찰기)은 포획되거나 추락하면 어떤 기밀 정보를 수집했는지 적군에 노출될 수 있다. 이때 특정 역할을 하고 원할 때 파괴할 수 있는 트랜션트 전자기기 기반 기술을 적용하면 원격으로 중요한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신개념 공학기술이다.
진성훈 교수 공동 연구팀은 기존 실리콘이 아닌 대면적 디스플레이 양산 기술을 기반으로 박막 형태 극소량 a-IGZO를 능동층으로 활용했다. 전자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필수 회로 요소인 인버터와 링오실레이터를 바이오 호환성이 있는 PVA 기판에 구현하고, 실제로 분해하는 실험까지 완료해 응용 가능성을 검증했다.
소량 a-IGZO는 바이오 호환성이 높은 게 특징이다. a-IGZO 기반 양산 소자에 사용하는 몰리브덴(Mo), 질화막(SiNx), 산화막(SiOx) 등은 물에 녹는 재료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기존 a-IGZO TFT 소재와 소자 구성을 그대로 활용해 새로운 트랜션트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진성훈 교수는 “양산 소재와 소자 기술을 활용해 디스플레이 외에 새로운 분야를 개척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앞으로 a-IGZO 회로 집적도와 성능을 개선해 실제로 적용 가능한 수준의 다양한 응용 분야를 연구하겠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사물인터넷(IoT)에 적용할 수 있는 트랜션트 RFID와 인공 코 분야를 연구할 계획이다. 호흡으로 발생하는 가스를 감지해 병을 진단하는 개념이다.
진 교수는 “헬리코박터 균이 있으면 호흡할 때 황화수소 가스가 발생하고 폐암이 발병하면 톨루엔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생기는 데 이를 쉽게 진단하고 친환경적으로 버릴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배옥진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