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차 산업 육성, 민관 함께 가속페달 밟는다

자율주행 자동차(Autonomous Vehicle)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와 민간 움직임이 빨라졌다.

Photo Image
지난달 한양대에서 열린 민간 주도의 `자율주행시스템(AVHS) 기술포럼` 창립 세미나 모습.

자율주행차는 센서를 이용한 주변 환경 인식 및 차량 자동 제어를 기반으로 운전자 조작을 최소화하고 안전성을 높인 차세대 자동차다. 독일, 미국, 일본 등 자동차 선진국들은 자율주행 기술 선점에 사활을 걸고 있다. 미래 자동차 시장 주도권을 좌우할 핵심 성장동력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세계 5위 자동차 생산국임에도 불구하고 자율주행차 기술 기반이 상당히 취약하다는 분석이다. 이에 산·학·연·관이 함께 관련 산업 생태계 육성에 나서 주목된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달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 및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 차원의 행사가 잇따라 개최된다.

우선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달 31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2015 자율주행자동차 산업 발전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자율주행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산업부의 정책 방향과 국내외 동향을 점검하고 향후 정책에 반영할 다양한 의견을 취합하기 위해 마련됐다. 자동차부품연구원이 주관하고 본지가 후원한다.

Photo Image
아우디의 자율주행차가 자동차 경주용 트랙을 질주하고 있다.

이상준 산업부 자동차항공과장은 “세계 각국의 자율주행 기술 개발과 시장 선점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국내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심포지엄을 마련했다”며 “완성차와 부품을 포함한 국내 업체들의 개발 동향과 다양한 민간 의견을 취합해 향후 정책에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24일 미래부와 산업부가 공동 주최하는 ‘미래성장동력-산업엔진 종합실천계획(안) 발표회’에서도 자율주행차가 화두가 될 전망이다. 지난해 양 부처가 공동으로 출범시킨 ‘스마트자동차추진단(단장 선우명호)’의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 소개된다.

이 같은 정부 차원의 노력과 함께 민간의 움직임도 본격화됐다. 지난달 출범한 ‘자율주행시스템(AVHS) 기술포럼’이 대표적이다. 포럼은 국내 산학연 전문가를 중심으로 국산화가 시급한 전략 부품과 인프라 개발 방안을 마련한다. 또 자율주행 관련 법·제도 및 규제 개선 필요 사항을 발굴해 정부에 건의한다는 방침이다.

선우명호 스마트자동차추진단장(한양대 교수)은 “독일, 미국 등 경쟁국에 비해 우리나라의 자율주행차 산업 활성화 움직임이 늦은 것은 사실이지만, 지금이라도 민관이 힘을 합치면 충분히 선진국을 따라잡을 수 있다”며 “최근의 움직임이 실질적인 산업 생태계 조성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핵심 부품 국산화를 위한 예산 지원 확대 등의 후속조치가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양종석기자 jsya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