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각광받는 ‘핀테크’ 비즈니스도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틈새 전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6일 인터넷기업협회가 올해 들어 처음 주최한 ‘2015 굿 인터넷 클럽’에는 4명의 전문가가 토론자로 나서 ‘인터넷 빅 트렌드의 허와 실’을 주제로 집중적인 논의를 펼쳤다.
김국현 에디토이 대표 사회로 이뤄진 토론에는 임정욱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센터장, 안병익 씨온 대표, 김유신 SK텔레콤 부장, 최성진 인터넷기업협회 사무국장이 토론자로 나섰다.
임정욱 센터장은 “지난해부터 핀테크 관심이 부쩍 늘었지만 중국이나 미국에서 간편결제나 인터넷은행 설립이 본격화된 것은 불편한 금융환경과 리먼 브러더스 사태가 빚어낸 현상”이라며 “우리나라처럼 모바일 금융이 자리잡은 곳에서는 새로운 틈새를 노려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핀테크 육성을 위해 규제 해소에 나서면서 새로운 산업기회를 연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누구나 생각해내는 경쟁이 치열한 분야보다 차별화된 영역에서 기회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야 한다는 의견도 내놨다. 김유신 부장은 “3D프린팅이 가능하고 인터넷을 통해 세계를 상대로 유통할 수 있어 새로운 장치를 고안하면 지금이 어느 때보다 사업하기 좋은 기회”라며 “서비스화된 하드웨어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한국적 상황을 고려하는데는 정부가 규제 개혁에 나서고 있지만 여전히 규제가 국내기업의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이다.
임 센터장은 “우리나라 스타트업은 미국과 달리 법조문까지 외우는 사례가 많다”며 “이는 미국이 해선 안 되는 것만 법에 명시한 규제방식인 반면 한국은 사업 가능한 영역만 명시하가 때문”이라고 말했다. 국내 기업이 정책적 이슈로 사업에 쏟을 시간을 뺏기고 있는 셈이다.
시대에 뒤쳐진 위치정보법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김유신 부장은 “피처폰 시절에 마련된 위치정보법은 사물통신(M2M)과 스마트폰 시대에 국내기업의 역차별을 만들었다”며 “새롭게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안병익 대표도 냉장고, 렌트카, 헬스케어 등 사물에까지 적용된 강력한 개인정보보호법으로 인해 글로벌시장에 도전할 사업 기회가 박탈됐다는 견해를 내놨다.
토론자들은 정부가 규제는 풀렸는 데 기업은 왜 뛰지 않느냐고 몰아부쳐서는 안된다고 입을 모았다. 최성진 사무국장은 “도전하고 노력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현실적으로 안 되는 건 안 되는 거로 봐야한다”며 “혁신의 주체인 기업에 대한 대중들의 격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