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대덕특구, 미래 40년 준비할 때

Photo Image

지난 40년간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의 중심이자 버팀목 역할을 해온 대덕특구가 초일류 혁신클러스터로 발돋움하기 위한 새로운 단계로의 진화를 준비할 때가 됐다.

특구가 국가 과학기술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R&D(연구개발)와 비즈니스 그리고 생산 기능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된 생태계가 조성되어야만 한다.

특구의 역사를 돌아보면 우리나라 산업 부흥과 궤를 같이하는 한 편의 드라마와 같다.

8·15 광복 후 우리나라에 있던 연구기관은 중앙공업연구소, 국립지질광물조사소, 중앙농업시험장, 중앙관상대, 국방부 과학연구소 등이 전부였다. 이들은 합쳐지고, 나뉘어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국방과학연구소가 특구 내에 자리 잡는 동력이 됐다.

박정희 대통령 시절 과학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1973년 1월 대통령 지시로 서울에 있는 정부 연구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해 새로운 ‘연구학원도시’를 조성하는 계획이 수립됐다. 사실상 대덕연구단지 설립 40년 역사의 신호탄이 오른 셈이다.

대덕연구단지 건설은 당시 과학기술연구소, 산업연구원, 국방과학연구원 등이 위치해 있던 서울 홍릉의 연구단지만으로는 늘어나는 기술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었다.

정부는 1973년 12월 국가사업의 일환으로 ‘대덕연구학원도시 건설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우리나라의 교통 요충지인 대전에 근접한 충청남도 대덕군 일원의 27.5㎢를 개발 대상구역으로 정해 1974년부터 연구단지 조성을 시작했다.

1973년과 1978년 두 차례에 걸친 오일쇼크로 단지 조성사업이 지연되기도 했다. 하지만 1978년 3월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입주를 시작으로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민간 연구기관, 정부 투자기관, 기업연구소 등이 입주를 시작했다.

고등교육기관으로는 1978년 충남대가 특성화된 공업교육대학 이전을 시작으로 자리했다. 1989년 7월에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이전했다.

2005년 출범한 ‘대덕연구개발특구’는 대덕연구단지(27.8㎢), 대덕테크노밸리(4.3㎢), 대덕산업단지(3.2㎢), 국방과학연구소 일원(3.9㎢)에 북부 그린벨트지역(31.2㎢)을 합해 약 67.8㎢에 이르는 거대한 과학연구단지로 조성됐다.

특구 내에는 정부출연기관 30개와 기업 1300여개를 포함해 모두 1400개가 넘는 기관이 입주해 있다.

현재 특구에는 우리나라 박사의 10%가 넘는 1만여 박사급 연구자들을 포함해 2만 7000여명의 기술직과 3만 6000명이 넘는 생산, 관리직이 일하고 있다.

특허 건수 누계도 어마어마하다. 국내특허 13만 8000여건, 해외 특허 5만 3000여건으로 19만 2000여건에 달한다.

등록된 연구소 기업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소재 기업 10개와 지주회사인 에트리홀딩스의 9개 기업을 포함해 36개다. 첨단 기술기업연구소는 96개가 자리하고 있다. 코스닥 등록기업 수는 31개나 된다.

통계치만 보면 대덕이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과학 메카임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풀어야 할 과제는 아직도 많다. 지속발전 가능성의 확보가 무엇보다 시급하다. 도시 인프라와 기반시설과의 개발 연계성, 혁신클러스터로의 진화, 창조산업 육성을 통한 녹색 비즈니스 창출, 실리콘밸리와 같은 인적자원의 확보와 국제화 등도 절실하다. 또한 ‘기초과학연구원’의 자리매김과 ‘엑스포과학공원’의 재개발도 매우 중요한 현안 과제이다.

이제 그동안의 공과에 대한 논의는 잠시 접고 대덕특구의 미래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얘기할 때가 됐다. 대덕의 미래 40년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방재욱 충남대 명예교수 bangjw@c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