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IT강국으로 꼽히지만 금융과 IT를 융합한 ‘핀테크’에서는 그 강점을 전혀 살리지 못하고 있다. 보수적인 우리나라 금융 산업은 수십 년 간 성장없는 비즈니스모델로 틀에 박힌 사업만 영위해왔다.
금융사들은 금융당국의 눈치만 보며 기존 업무에만 집중하며 새로운 시도에 인색했다. 금융당국도 금융업을 새로운 성장 동력이나 육성산업군보다는 규제 대상으로만 취급했다. 이런 분위기에서 금융 산업의 혁신을 기대하기는 힘들었다.
해외에서 큰 활기를 띠고 있는 핀테크에 아직도 한국은 뚜렷한 방향설정을 하지 못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서 핀테크상담지원센터 등을 만들며 적극적인 지원의사를 밝히고 있지만 여전히 새로운 산업이 나오기에는 정책적 지원이 보수적인 관점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금융사업자는 금융업법, 여신전문법 등 다양한 법적 규제를 받는다. 아이디어로 무장한 벤처기업이나 스타트업이 금융 산업에 참여하기 쉽지 않은 구조다. 새로운 사업모델은 인허가에만 수개월에서 1년 이상을 기다려야 한다. 이 사이 중소기업들은 사업을 포기하기 쉽다.
금융업은 또 엄격한 자본관리 규제를 받는다. 아이디어로 IT와 결합한 금융모델을 개발해도 영세한 기업이라면 그 사업을 펼치기 쉽지 않다. 이때 금융회사와 핀테크의 결합이나 포털·통신사와 금융 스타트업의 가치공유가 필요하지만 어느 곳에도 이런 지원이나 방향성 제시가 나오지 않는 게 현실이다.
핀테크는 향후 글로벌 금융 산업의 전반적 생태계를 뒤바꿀 중요한 변화로 꼽힌다. 더구나 우리나라는 세계가 부러워하는 대표 IT강국 가운데 하나다.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자산업의 주류가 바뀌면서 삼성전자·LG전자가 소니를 누르고 전자 대표기업으로 성장한 바 있다. 금융업도 다르지 않다. 우리나라의 IT 강점을 살려 금융 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대계를 고민해야 할 때다.
핀테크 업계 관계자는 “혁신은 자유롭고 창의적 환경에서 태동해 기존 비즈니스와 치열하게 경쟁하며 생존을 모색한다”며 “다양한 핀테크 산업도 이런 바탕 위에서만 성장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