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상거래 수출 지원 사업 확대…수출 집계 방식도 개선

정부가 전자상거래 수출 활성화를 위해 내년 온라인 쇼핑몰 지원 사업 범위를 올해보다 50% 많은 1500여개사로 확대하기로 했다. 별도의 통계기준이 없었던 전자상거래 수출 실적 집계를 실매출 기준으로 정례화하는 방안도 검토할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4일 서울 삼성동 무역협회에서 이관섭 차관과 나영호 전자상거래 수출협의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2차 전자상거래 수출협의회’를 열고 온라인 쇼핑 수출 시장 창출 정책을 논의했다. 정부는 최근 급성장하는 온라인 직구(직접구매) 시장에 대한 우리 기업의 대응을 돕기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펼치기로 했다.

중소기업청은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 등록·판매 지원 기업 수를 올해 1000개에서 내년 1500개로 늘릴 계획이다. 해외 온라인 쇼핑몰 진출에 필요한 정보를 담은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 가이드’도 다음 달 발간·배포한다.

뚜렷한 통계 기준이 없는 전자상거래 수출 실적 집계 가이드도 마련된다. 관세청 수출 통관 기준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전자상거래 수출 규모는 약 2500만달러로 수입액 7억9000만달러의 3.5% 수준에 불과하다.

산업부는 수출 실적을 통관이 아닌 전자상거래 업체의 실매출 기준으로 집계하는 것을 추진하기로 했다. 산업부가 이번 전자상거래 수출협의회에 참여한 아홉 개 온라인 쇼핑몰 업체의 매출을 집계해 보니 지난해 수출 규모는 통관 기준 실적보다 열 배 이상 많은 3700억원 수준으로 파악됐다.

아울러 9월 말부터 특송업체를 이용한 해외 운송품목을 수출입 통계에 반영하는 한편 아직 공유되지 않는 우체국 EMS 배송품에도 관세청과 협조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조영태 산업부 무역정책과장은 “새로운 방식의 전자상거래 수출 실적 집계와 발표를 정례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