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지방이전에 우는 中企 유지보수 사업

에너지 공기업 및 공공기관 지방이전이 계속되면서 협력 중소기업들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수도권에 몰려있던 공기업·기관들이 전라도, 경상도로 흩어지면서 인력 파견과 설비 운송에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있지만 사업 발주 단가는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16일 발전 업계에 따르면 최근 주요 사업 발주처인 발전 공기업들의 지방이전이 시작되면서 시스템 유지보수 인력 배치와 비용 증가 문제가 드러나고 있다. 일부 중소기업들은 직원 이탈 현상까지 겪으면서 경영에 위협을 받고 있다.

문제는 유지보수 인력들의 파견 근무가 많아지면서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발전사들의 시스템 유지보수는 상주와 비상주 작업으로 나눠지고 있다. 비상주 작업은 출장비 등 단기 비용 증가 수준이지만 상주 작업은 직원의 현장숙소 마련부터 정착까지 부담이 크다.

특히 발전 공기업은 국가안보시설을 담당하는 특성상 시스템이 외부 네트워크와 단절돼 있어 원격 지원도 불가능하다. 유지보수 사업을 위해선 울며 겨자 먹기로 지방 출장이나 상주를 해야 하는 셈이다. 중소기업들은 공기업 지방이전에 따른 추가 비용이 발주 사업 단가에 포함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발전 공기업도 난감하기는 마찬가지다. 협력사들의 현장 근무 편의를 위해 사무실 무상 지원을 하고 재계약시 일부 비용 상승은 단가에 포함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지만 협력사 직원들의 숙소 문제까지 해결하기는 무리가 있다는 입장이다. 인근 지역 중소 협력사들과 재계약을 체결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정작 문제는 대다수가 서울·경기에 몰려 있다는 점이다.

발전 공기업 관계자는 “지역 기업은 대부분 시공 관련 업종이 많고 시스템 유지보수를 하는 곳은 없다”며 “지리적 거리가 멀다보니 설비 교체와 시스템 업그레이드에 시간이 지연되는 경우도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A발전 공기업은 얼마 전 강당 시스템 설비를 교체하려 했지만 협력사가 운송 시간을 맞출 수 없어 설비 배송이 하루 늦어진 경우도 있었다. 지방이전 이후 유지보수 협력사 직원들이 50% 이상 교체되면서 업무 인수인계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중소기업들은 지금 인력 배치 문제가 발전 공기업 시스템 유지 보수에 잠재적 불안요인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기존 협력사들이 사업을 포기하면서 하나의 시스템을 여러 기업들이 돌아가면서 유지보수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는 이유다. 해당 시스템에서 사고가 발생해도 그 원인과 책임 소재를 파악하기 어렵게 되는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사업 비용 증가도 문제지만 지방 상주 파견을 보낸 직원들이 퇴사 의사를 밝히면서 위기 의식을 느낀다”며 “발전 공기업이 사업 단가에 지방 이전에 따른 비용을 적극 반영해 협력사 파견 직원들에 대한 기본적인 보상은 보장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