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속 깊은 구멍 때문에 지반이 갑자기 붕괴되는 싱크홀 현상을 과학기술로 해결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국가 연구개발(R&D) 주무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도 내년 신규 사업 중 하나로 싱크홀 대응 기술 개발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7일 미래창조과학부는 내년 신설되는 ‘재난 대응 R&D’ 신규 과제 두 개 중 하나를 싱크홀 대응 기술 개발로 선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신규 사업인 만큼 예산 배정이 확정되지 않았고, 타 부처와 협의도 필요하지만 기술 개발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미래부 소관 R&D 사업 중에는 과학기술과 사회문제 해결 수요를 접목한 ‘사회문제 해결형 R&D 사업’이 있지만 추진 과제가 확정돼 이 사업에는 반영이 어렵다. 싱크홀 대응 기술을 개발하려면 내년에 신설되는 재난 대응 R&D 사업에 포함시켜야 하는 상황이다.
문제는 이 사업으로 추진할 수 있는 과제가 두 개뿐이라는 점이다. 미래부는 올해 정부 예산안에 이 사업 예산으로 50억원을 신청했는데, 과제 당 25억원씩 예산이 배분될 예정이다. 수행 가능한 과제 수 자체가 적기 때문에 선정에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국토교통부 소속 건설기술연구원도 싱크홀 연구를 검토 중이기 때문에 부처 간 업무 조정도 필요하다.
미래부 관계자는 “신규 사업 예산인 만큼 국회에서의 예산 확정 여부가 결정되기 전까지는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기 어렵다”며 “국토부 쪽도 연구를 검토 중이기 때문에 조정을 거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싱크홀 대응 기술을 개발하려면 기존 선행 연구를 검토한 뒤 융·복합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리정보시스템(GIS)를 통한 위험 지도 작성, 비파괴 지하탐사 기술 등이 필요 기술로 꼽힌다.
미래부 관계자는 “사업 추진이 확정되면 전문가 자문을 통해 과학기술 활용 가능 여부부터 점검해볼 계획”이라며 “R&D를 통해서 해결 가능한 과제라는 판단이 내려져야 본격적인 추진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