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리콜 규제 대비 위해 무결점주의 도입 필요"

미국 자동차 리콜 규제 강화 추세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유연한 조직문화’와 ‘무결점주의’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승원 현대자동차 품질본부 이사는 23일 서울 서초대로 자동차산업회관에서 열린 조찬간담회에서 “2009년 도요타와 올해 GM의 초대형 리콜 파문을 거치면서 미국 정부와 의회가 리콜 규제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면서 국내 완성차와 부품 업계가 안전품질 향상에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에 따르면 2010년 1900만대를 정점으로 2011년 1400만대, 2012년 1500만대 등으로 주춤하던 미국 내 차량 리콜 건수는 올해 GM의 ‘주행 중 시동 꺼짐 현상’ 리콜 여파로 4800만대까지 급증할 전망이다. 특히 GM이 이미 2002년 이 문제를 인지하고도 은폐했다는 의혹이 일면서 리콜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2009년 도요타 급발진 사건 이후 리콜 관련 과징금이 1500만달러에서 3500만달러로 상향됐으나 이를 1억달러로 올리는 법안이 미국 상원에 제출된 상태다. 일부에선 상한선을 아예 없애자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사고 관련 자료 보관 기간을 현행 5년에서 20년으로 늘리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이 이사는 “상원 청문회에 불려가 곤욕을 치른 데이비드 프리드먼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 국장이 최근 우리 회사를 포함해 12개 완성차 회사 관계자를 불러모았다”면서 “안전문제가 있는 차는 리콜뿐만 아니라 아예 판매를 중단하는 강력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할 정도로 강경한 입장”이라고 했다.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는 ‘조직문화 혁신’이 제시됐다. GM이 10년 전 문제를 인지하고도 해결하지 못하고 사태를 키운 근본 원인이 △책임전가 △실행부재 △폐쇄적 의사결정에 있다는 GM 내부감사 결과를 인용했다.

이 이사는 “메리 바라(Barra) GM CEO가 국회 청문회에서 우주항공 분야를 벤치마킹해 ‘제로 디펙트(무결점)’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는데 우리도 이런 문화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면서 “한 건의 안전문제도 대형 리콜로 연결되는 만큼 국내 완성차 및 부품 업계가 무한 품질책임 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용주기자 kyj@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