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과 연구단체가 왕성하게 만든 학술정보를 장벽 없이 유통해 널리 확산시키는 ‘오픈액세스’ 운동이 국내에서도 국립중앙도서관을 축으로 빠르게 번지고 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408/599609_20140828151408_305_0001.jpg)
국립중앙도서관(관장 임원선)은 28일 5개 정보저장소(리포지터리) 무상보급기관과 오픈액세스 35개 학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학술정보를 널리 공유함으로써 세계에 널리 유통하자는 취지다.
지난 2010년부터 시작된 국내 오픈액세스는 서울대, 아주대, 인하대, KAIST 등 23개 보급기관과 25개 학회가 참여하고 있다. 이번 협약은 신규로 선정된 5개 보급기관과 신규 10개 학회를 포함한 총 35개 학회, 37개 학술지와 체결했다.
오픈액세스는 누구든지 온라인상에서 법적·기술적·경제적 제약 없이 자유롭게 학술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정보유통 모형이다. 상업출판사가 독과점해 주로 영리 목적으로 유통하던 학술정보를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함으로써, 학술정보가 인류 학술발전에 공헌하는 본연의 목적을 되찾기 위해 출발했다.
리포지터리는 공공기관·연구소·정보센터 등이 만든 연구논문, 보고서 등 디지털 지식정보를 등록·관리하고 세계 이용자들에게 무료로 제공하는 일종의 정보저장소다. 세계에 약 2586개가 구축됐고 이 가운데 17%(442개)가 미국에서 만들어졌다.
국립중앙도서관은 협약을 맺은 학술지를 확장성표기언어(XML) 전자원문으로 구축, 텍스트·이미지·표 등 데이터 중심 검색이 가능하다. 문서 호환성이 좋아 최근 글로벌 학술정보 유통의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렇게 가공된 국내 오픈액세스 학술지는 세계적 학술지 채널인 OAK Central(http://central.oak.go.kr)을 통해 서비스 한다.
학술지를 오픈액세스 형태로 발간하면 학회는 보다 쉽게 학술지를 세계에 알릴 수 있고, 이를 통해 SCI(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 SCOPUS(세계우수학술논문 인용지수) 등 세계적인 초록·인용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될 가능성을 높인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OAK 리포지터리를 보급 받아 연구성과물을 오픈하면 전 세계 연구자들이 훨씬 손쉽게 그 성과들을 활용할 수 있다.
기민도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기획과장은 “앞으로도 오픈액세스 저널과 리포지터리 보급을 확대해 국내 연구자들의 학술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지식강국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