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귀농을 ‘위험한 초대’로 만드나

[테크홀릭] 지난 몇 년 동안 귀농은 트렌드 가운데 하나로 자리 잡았다. 2001년 880가구에 불과했던 귀농 인구는 2013년에는 3만 2,000가구에 달했다. 무려 36배나 증가세를 보인 것이다.

Photo Image

하지만 막상 귀농 인구가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는 데 비해 농촌 환경 자체는 열악한 상태다. 도시 지역의 상수도 보급률이 98%인 데 비해 농촌 지역은 62%다. 농촌 소재 의료 기관은 8%로 그나마 지속적인 하향세를 보이고 있는 게 현실이다. 대중교통 보급률 역시 10% 수준, 농촌 소재 보육 기관의 경우 18%로 수요에 비해 공급 미달인 상태를 보이고 있다.

귀농을 하려면 정착금도 따져봐야 한다. 초기 자본금 3억원, 여기에 매년 1,000만원 가량이 필요하다고 한다. 월 200만원 꼴로 지출이 필요한 셈이지만 가계 지출을 뺀 농가소득은 월 30∼40만원 내외라고 한다.

그 뿐 아니라 농지 매매와 토지 관리, 해충 관리, 해충 방제 교육이나 자동화 기계 기술, 주택 계약과 정보화 교육, 농기계 운전과 작동법, 조립식 주택 건설 등에서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 다른 어려움은 텃세다. 귀농 관련 글 873건을 분석해보면 어려움을 토로하는 관련 글이 688건에 이른다. 여러 이유로 귀농 성공 확률은 10%인 반면 실패할 확률이 90%에 달하는 게 현실이다. 귀농 자체가 문제가 될 것은 없지만 철저한 준비 없이 그냥 낭만적인 자연으로의 회귀만을 꿈꾸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얘기다. 재정적인 준비는 물론 귀농에 필요한 사전 지식을 꼼꼼히 준비하는 한편 귀농 사례를 거울로 삼아야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는 얘기다. 늘어나는 귀농 인구만큼이나 더 철저한 준비가 필요할 때다.

해당 기사는 데이터 수집과 분석, 인포그래픽 디자인, 스토리텔링 등 시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뉴스젤리가 제작한 인포그래픽을 바탕으로 제공한 것이다. 관련 기사 원문은 이곳(http://newsjel.ly/issue/sanjang/)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자신문인터넷 테크홀릭팀


이석원 기자 techholic@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