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전산업생산 1% 감소…세월호 사고 영향 여전

5월 산업활동에 세월호 사고가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은 4월 대비 증가했지만 공공행정·건설업이 감소해 전반적으로 부진했다는 평가다.

기획재정부는 5월 전산업생산이 전월대비 1% 감소했다고 27일 밝혔다. 광공업(-2.7%), 건설업(-6%), 공공행정(-0.6%) 등에서 감소했고 서비스업(0.6%) 등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월호 여파에 따른 지역축제·행사 취소, 지방선거 영향 등으로 공공행정과 건설업이 감소했다는 평가다.

광공업 생산은 기계장비(2.7%), 석유정제(3.2%) 등이 증가한 반면 자동차(-7.4%), 반도체 및 부품(-4.7%) 등이 감소했다. 징검다리 휴무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 수출부진, 생산철수 등으로 기여도가 큰 자동차, 휴대폰 등이 부진했다는 평가다. 특히 휴대폰은 통신사 영업정지 종료에도 불구하고 노키아 마산공장 철수, 수출감소 영향으로 생산량이 줄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1.5%), 예술·스포츠·여가(6.9%), 출판·영상·방송통신업(1.8%) 등을 중심으로 0.6% 증가했다. 5월 들어 세월호 사고여파와 직결된 소매판매와 서비스업은 증가세로 전환됐지만 4월 하락폭을 만회하지는 못했다.

이밖에 설비투자는 기계류와 운송장비 투자가 모두 감소해 1.4% 줄었다. 기계수주는 전기업 등의 수주 감소로 21.6% 감소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5월 산업활동이 전반적으로 부진해 그동안 회복흐름이 주춤하다”며 “향후 경기흐름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선일기자 ysi@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