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면적 세계 109위와 136위. 산악지역 거주 인구비율 4위와 1위. 우리나라와 스위스의 닮은 점이다. 하지만 1인당 국민소득이나 국가경쟁력, 노벨상 수상자 수를 살펴보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1인당 국민소득은 2012년 기준으로 우리나라가 2만3579달러로 34위에 그쳤지만 스위스는 7만8754달러로 4위를 기록했다. 세계경제포럼(WEF·2012년 기준)이 발표한 국가경쟁력도 25위와 1위(스위스는 5년 연속)로 차이가 난다.
스위스가 잘 사는 나라라는 것은 익히 알려졌지만 최근 박근혜 대통령의 국빈방문을 계기로 흥미로운 사실이 더 밝혀졌다. 대학 진학률과 청년 실업률이다. 스위스는 대학 진학률이 29%로 낮지만 청년 실업률은 7.0%다. 우리는 2012년 기준 71.3%에 이르는 대학 진학률을 기록하고도 청년 실업률 9.3%를 기록했다. 대조적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스위스 청년 실업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저 수준을 기록한 요인으로 청년 직업교육을 꼽았다. 스위스에서는 직업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취직은 물론이고 사회 통념상 최고경영자(CEO)까지도 올라갈 수 있기 때문에 굳이 대학에 진학할 필요가 없다.
스위스의 직업학교 시스템은 기업 주도로 이뤄진다. 일주일에 3~4일은 학교와 계약을 맺은 기업에서 현장훈련하고 나머지는 학교에서 이론과 소양교육을 실시한다. 학생은 월 급여를 받기 때문에 일찍부터 경제적 자립이 가능하다. 또 사고가 유연한 청소년기에 직업훈련을 받으면 숙련도가 높아져 기업이 선호한다. 직업학교를 나와 취업한 사람과 대졸 취업자 간 연봉차가 거의 없다는 것도 우리나라와 대조적이다.
6일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충북반도체고를 방문했다. 스위스 직업교육시스템을 한국 실정에 맞게 벤치마킹해 기업 참여를 유도하고 산업계 수요를 반영해 직업교육을 혁신하기 위한 과정이다.
당장 스위스 수준의 사회 인식과 시스템이 정착되기는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기업이 나서고 정부가 제도 개선 등으로 밀어주면 산업인력 미스매치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직업교육 혁신을 하려는 정부와 학교·기업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5년 전 업비트서 580억 암호화폐 탈취…경찰 “북한 해킹조직 소행”
-
2
LG이노텍, 고대호 전무 등 임원 6명 인사…“사업 경쟁력 강화”
-
3
AI돌봄로봇 '효돌', 벤처창업혁신조달상품 선정...조달청 벤처나라 입점
-
4
롯데렌탈 “지분 매각 제안받았으나, 결정된 바 없다”
-
5
'아이폰 중 가장 얇은' 아이폰17 에어, 구매 시 고려해야 할 3가지 사항은?
-
6
美-中, “핵무기 사용 결정, AI 아닌 인간이 내려야”
-
7
삼성메디슨, 2년 연속 최대 매출 가시화…AI기업 도약 속도
-
8
美 한인갱단, '소녀상 모욕' 소말리 응징 예고...“미국 올 생각 접어”
-
9
아주대, GIST와 초저전압 고감도 전자피부 개발…헬스케어 혁신 기대
-
10
국내 SW산업 44조원으로 성장했지만…해외진출 기업은 3%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