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신임 회장 자격조건은?…낙하산 아닌 ICT 통찰력 갖춘 인재

KT가 차기 CEO 공모에 돌입함에 따라 자천타천으로 거론된 후보가 본격 공모 경쟁에 뛰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선 KT 회장뿐만 아니라 부회장 내정설, 혹은 회장-부회장 러닝메이트설까지 퍼지며 낙하산 인사 우려가 벌써부터 불거진 상태다. KT 차기 CEO가 보이지 않는 힘에 의해 `정략적` 혹은 `정치적`으로 이뤄지거나 `특정 인맥`에 의해 결정된다면 후폭풍이 거셀 것으로 보인다. CEO 추천위원회는 이 같은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CEO 선임과정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진행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하지만 거론되는 KT 회장 후보자 상당수가 친정부 인사로 분류된다. 낙하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KT 안팎의 시선은 싸늘하다. CEO추천위원회가 친(親)이석채 전 KT 회장 인사로 구성된 상황에서 `이 전 회장 사람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이어 `정·관계 낙하산이 내려오는 것 아니냐`는 걱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KT 고위관계자는 “낙하산으로 거론되는 인사 중 KT와 통신을 꿰뚫고 정보통신기술(ICT) 전반에 대한 통찰력을 가진 후보가 있느냐”며 “지난 5년간 낙하산 CEO로 인해 KT가 감수한 고통만으로 충분하다”고 꼬집었다.

이처럼 친정부 인사를 비롯해 정치권이나 관료 출신 등 낙하산 인사에 대한 KT 안팎의 거부감은 갈수록 고조되고 있다. 이 전 회장 사퇴 이후 KT는 물론이고 정치권, 시민단체, 업계가 `친정부 낙하산 인물은 안 된다`고 한목소리를 낸 것도 같은 맥락이다.

차기 회장은 무엇보다 이른 시간에 KT그룹의 전열을 재정비, 정상화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됐다. 이를 위해 우선 KT와 통신 전반에 대한 깊이 있는 전문성과 미래지향적인 비전을 갖춰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이게 전제돼야 위기를 극복할 혁신 추진이 가능하고, KT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뿐만 아니라 KT그룹의 순항을 위해선 통신을 넘어 미디어·하드웨어·소프트웨어·융합 등 ICT 제반 영역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경험도 필수요건이다. KT를 중심으로 벤처기업·중소기업·중견기업과 협력, 선순환 ICT 생태계를 조성하고 궁극적으로 창조경제를 선도하기 위한 남다른 감각도 갖춰야 할 덕목이다. 국민기업이자 통신업계 맏형인 KT의 CEO는 `한국 ICT 선단`을 이끌 리더십과 성공한 경험을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KT 관계자는 “단순한 이론이 아닌 오너(Owner) 마인드로 현장에서 성공 사례를 만든 경험과 노하우는 KT 그룹의 분위기를 일신하고 구성원 전체의 지지와 존경을 유발하기 위한 최선의 처방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표적 규제산업인 통신시장 특성을 감안해 정부·국회·제조사·경쟁사 등과 관계가 원활하고 신뢰성이 두터운 것도 중요한 자격요건으로 꼽힌다. 창조와 융합을 위해서는 갈등 상황을 원만하게 해결하는 `합리적 조정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위기의 KT를 살려내기 위한 글로벌 마인드도 필수요건으로 대두된다. KT가 가장 경쟁력 있는 네트워크 구축과 운영 노하우를 이젠 수출해야 지속성장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시장 성숙기에 이른 한국 시장에만 연연하는 그릇으로는 KT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외에도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노사 화합을 일궈낼 수 있는 능력, 부패의 유혹을 과감하게 떨칠 수 있는 청렴성, 남의 이야기를 경청하며 허언을 남발하지 않는 포용력과 신뢰성 등도 KT CEO가 꼭 갖춰야 할 요건으로 지적됐다.


김원배기자 adolfk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