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중독자가 경기도에 가장 많음에도 경기도의 대응이 턱없이 부족해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강득구 경기도의회 의원은 12일 경기도여성능력개발센터 행정사무감사에서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같이 지적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인터넷 중독자 220만3000명 가운데 29.7%인 65만4000명이 경기도에 거주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위험사용자는 18만5000명이었고, 잠재적 위험사용자도 46만900명이나 됐다.
하지만 경기인터넷중독대응센터 상담실적은 전화상담을 포함해도 2011년에 18명, 2012년에는 90명, 올해 9월말 현재 94명에 그쳤다.
경기도여성능력개발센터는 2011년 7월 정부로부터 경기인터넷중독대응센터로 지정됐다. 인터넷중독 상담과 예방교육 등에 2011년 6890만원, 2012년 1억4774만원의 사업비를 투입했고, 올해는 7억6315만원으로 늘렸다.
특히 도는 올해 국비 15억원을 포함해 총 26억4000만원을 투자해 여성능력개발센터 내에 인터넷중독대응 전문시설인 `경기인터넷 꿈미래`를 건립할 예정이다.
강 의원은 “경기도에 인터넷중독자 수가 가장 많고 중독률이 높은 만큼 도가 인터넷 중독 대응사업에 선도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폰 중독 대응사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순기기자 soonk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