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조단위 예산을 투입해 추진 중인 합성천연가스(SNG)사업이 딜레마에 빠졌다. 생산한 가스를 공급할 수요처 확보가 어렵고 셰일가스의 등장으로 경제성도 장담하기 힘든 상황이 전망되기 때문이다.
7일 발전·가스업계에 따르면 포스코가 광양에 건설하고 있는 50만톤 규모의 SNG플랜트 운용을 두고 진퇴양난이다.
이미 70% 공정률로 취소할 수도 없는 SNG플랜트에서 내년부터 가스생산에 들어가더라도 이를 공급할 수요처 확보가 제도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국내에서는 한국가스공사를 제외한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사는 자신의 발전소에만 공급할 수 있다. 포스코는 당초 광양 SNG플랜트에서 생산되는 가스를 포스코에너지의 LNG발전소에 전달할 계획으로 이 사업을 추진했다.
문제는 SNG를 인천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가스공사에서 관리하는 LNG주배관을 이용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LNG와 SNG가 섞이기 때문에 SNG의 품질을 최대한 LNG와 동일하게 맞춰야 한다.
가스공사는 2년 넘게 SNG를 LNG와 섞는 것에 대한 기술적 검토를 진행하고 있지만 아직 최종 품질기준을 확정하지 못했다. 품질기준이 확정되더라도 관련법규 개정과 실증 등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포스코의 내년 SNG플랜트 준공시기와 맞추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가스공사 입장에서는 포스코의 가스 도매사업 진출 물꼬를 터주는 일이 될 수 있는 이 사안을 서두를 이유가 없다.
도시가스업계는 SNG의 소매시장 공급을 불허해야 한다고 선을 긋고 있어 포스코가 소매부분 신규 수요처를 발굴하는 것도 어려운 상황이다.
도시가스업계는 소매시장의 혼선을 야기할 수 있는 소지가 많기 때문에 SNG를 반대하고 있다. SNG의 소매판매가 제한적으로 가능해지면 일반도시가스사업자에게까지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지적한다. SNG를 받는 수요처와 기존의 산업용 도시가스를 공급받는 수요처 간에 가스요금편차 문제도 야기될 수 있어 수요처 이탈현상을 우려한다.
셰일가스의 등장 역시 악재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올해 우리나라 LNG도입가격은 MMBTU(가스단위)당 약 14달러 초반이다. 이는 지난해 15달러에 근접했던 도입가격이 셰일가스 등 영향으로 하향안정 됐다. 가스업계는 향후 셰일가스 공급이 본격화되면 국제시장의 LNG거래가격이 더 내려갈 것으로 보고 있다.
SNG의 생산단가 일반적으로 LNG대비 70~80%수준으로 낮추는 것이 목표다. MMBTU당 14달러인 현재와 비교해 11달러 내외로 가스를 공급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따라서 LNG수입가격이 11달러까지 내려가면 경제성이 상실된다.
가스업계는 포스코가 SNG사업의 진퇴양난 상황을 자처한 것으로 보고있다. 인도네시아에서 들여오는 연간 55만톤 LNG 물량으로 자가소비는 충분한데 추가로 50만톤 규모 SNG플랜트 건설을 수요처 문제도 해결하지 않고 서둘렀다는 것이다.
가스업계 관계자는 “SNG플랜트 건설기간이 늘어나고 정부가 SNG 품질기준을 까다롭게 설정함에 따라 생산단가는 더 올라갈 것”이라며 “포스코가 SNG플랜트 지분 일부 매각, 광양지역 열병합발전소 건설 추진 등 자구책을 강구하고 있지만 셰일가스 영향까지 겹친 현 상황을 타개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