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고용창출투자세액공제 대상업종에 항공운송업 추가` 건의

경제계가 항공운송업의 고용창출투자 세액공제 대상업종 추가를 건의했다. 항공운송업계는 지난 5년간 약 9조5000억원의 항공기 투자를 통해 4200여개 일자리를 창출했다. 고용과 투자에 적극적이며 연관 산업인 관광산업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하는 항공운송업가 대내외 여건으로 경영환경이 악화된데 따른 조치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5일 정부에 현재 47개 업종인 고용창출투자세액공제 대상에 항공운송업을 추가해달라고 건의했다. 항공운송업이 고투세 취지에 부합하는 산업이라는 취지다.

90년대 말까지만 해도 세계 20위권 수준에 불과하던 우리나라 항공운송업이 2011년 세계 6위권(여객 3위, 화물 13위)으로 성장했지만, 최근 대내외적 환경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따른 건의다. 현재 우리나라 항공업계는 경쟁력을 나타내는 지표인 수익성, 성장성, 안정성 모두 나빠지면서 비상이 걸렸다. 실제 당기순이익이 국내시장의 협소성, 항공사 간 경쟁으로 인해 2008년 2조2300억원을 기록했으나, 2009년 4497억원, 2010년 6771억원, 2011년 2998억원으로 급감했다. 또 성장성을 나타내는 매출액순이익율도 2008년부터 거의 매년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전경련은 관광업 등 전후방 산업연관효과가 큰 항공운송업에 대한 세제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시각이다. 항공운송업은 운항·안전·기내서비스 등의 직접 고용 효과 뿐 아니라 협력업체 등을 통한 간접 고용 효과 역시 크다는 설명이다.

실제 항공기 1대당 운용인력은 130명 이상이며, 주요 협력업체 종사자 수도 8000여 명에 달한다. A항공사 관계자는 “박근혜정부의 고용률 70% 국정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고용창출에 실질적 기여를 하는 산업에 대해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국내 산업에서 유독 항공운송 분야만 지원이 소외되는 등 타산업과의 형평성면에서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전경련 홍성일 금융조세팀장은 “최근 일본의 아베정부는 생산설비 투자 촉진 및 고용·노동 분배 확대를 위해 고용자 수가 증가한 경우, 기업의 규모나 업종별 제한이 없이 세액공제를 지급한다는 정책을 발표했다”며 “대표적 일자리 창출 산업인 항공운송업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홍기범기자 kbho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