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뇌연구 투자, `무뇌아` 수준

뇌과학 투자 이대로 좋은가

현재 뇌연구에 가장 앞선 성과를 내고 있는 나라는 미국이다. 미국의 연구개발 정책은 뇌연구 기반을 바탕으로 지난 2009년 설정한 `국가 뇌신경과학 지원 방안`에 의해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미국은 신경퇴행(2007년)과 신경발생(2008년), 신경가소성(2009년) 등을 집중육성 분야로 선정해 지원했다. 현재는 뇌신경장애 치료를 위한 신약 개발과 신경성 통증 및 신경가소성에 대한 협력연구 등 두 가지 주제에 집중 지원 중이다.

블루프린트 신경치료 네트워크(Blueprint Nuerotherapeutics Network)라는 프로그램을 통해서는 개별적으로 연구하는 기초 연구자들이 효과적으로 신약개발의 파이프 라인에 진입할 수 있도록 `가상약물개발` 시스템을 지원, 중요한 약물 표적이 도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2010년 현재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총 예산은 320억달러로 이 가운데 57%가 순수연구비로 사용되고 있으며, 신경과학 관련 연구비는 이 중 18%인 57억달러에 달한다.

EU는 뇌연구를 위한 개별적 특화 프로그램보다는 `FP7`(Framework program 7)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주요 연구개발사업을 통합운영하고 있다.

뇌신경과학 분야는 FP7프로젝트의 19%를 점하는 보건의료 분야에서 주로 지원된다. 예컨대 영국은 연구기관간 공동프로젝트(cross-council)를 통해 추진되며, 현재 뇌의 노화 등의 주제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프랑스의 뇌과학 연구는 주로 INSERM(국립생명과학연구소)과 CNRS(국립과학연구소)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특히 알츠하이머병 등에 집중 투자된다.

일본은 문부과학성을 중심으로 `사회에 공헌하는 뇌과학`의 실현을 위한 뇌과학 연구 기본 구상에 기반해 투자가 진행 중이다. 2009년 현재 뇌과학 예산은 연간 300억엔 정도로 전체 생명과학 예산의 7%에 달한다.

일본은 복합(융합)적 방법을 활용한 기억과 학습, 인지 등 고위 뇌기능 제어에 관한 통합적 해명을 위한 연구를 주로 하고 있다. 물론, 타 기술분야와 융합에 의한 새로운 연구영역 창출을 강조하며, 특히 영장류를 포함한 모델동물 개발과 뇌 이미징, 인포매틱스 등의 기반기술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반면, 우리 정부의 뇌연구 투자액은 절대적·상대적으로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국내 뇌연구비는 2009년 기준으로 총 610억원. 이는 같은해 미국의 164분의 1, 일본의 17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대학을 중심으로 소규모 연구팀(20여개)에서 산발적으로 연구를 수행, 산·학·연간 유기적 협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연구계 관계자는 “연구책임자급 뇌연구자의 약 43%가 10개 대학에 집중돼 있다”며 “가천의대와 KIST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연구팀은 교수 개인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