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공산품의 리콜 건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리콜 건수가 주춤한 것과 대조적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2일 각 정부부처 및 지자체의 `2012년도 리콜 실적`을 분석,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식품위생법 등 13개 관련 법률에 따른 리콜 실적은 859건으로 전년(826건)대비 4%(33건) 증가했다. 반면 공산품은 2011년 172건에서 2012년 244건으로 42%나 껑충 뛰었다. 전체 리콜보다 10배나 높은 수치다.
공정위는 “공산품은 제품안전기본법·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 근거해 리콜을 합산했다”면서 “지난 2011년 2월 시행한 제품안전기본법이 공산품의 리콜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리콜이 가장 많은 분야는 식품(349건·40.6%)과 의약품(244건·28.4%)이었다. 이어 공산품(173건·20.1%)과 자동차(76건·8.8%)가 3위, 4위였다. 이들 4개 품목이 전체 리콜의 98%를 차지했다.
김정기 소비자정책국 소비자안전과장은 “소비자종합정보망인 `스마트컨슈머`로 품목별 통합 리콜 정보와 해외 리콜 정보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면서 “특히 스마트컨슈머 전용 앱을 통해 주요 리콜정보에 대한 푸시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어 리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다”고 밝혔다.
세종=
방은주기자 ejbang@etnews.com